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충렬왕(忠烈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DA9B82CC655B1236X0
이명(異名)왕거(王昛)
이명(異名)왕심(王諶)
이명(異名)왕춘(王賰)
시호(諡號)충렬(忠烈)
생년1236(고종 23)
졸년1308(충렬왕 34)
시대고려후기
본관개성(開城)
활동분야왕실 > 왕
순경태후(順敬太后)
무비(無比)
외조부김약선(金若先)

[상세내용]

충렬왕(忠烈王)
1236년(고종 23)∼1308년(충렬왕 34). 고려 제25대왕. 재위 1274∼1308년.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왕거(王昛), 초명은 왕심(王諶)왕춘(王賰).
1. 가계
원종의 맏아들이며, 모친은 추밀부사(樞密副使) 김약선(金若先)의 딸 순경태후(順敬太后) 김씨이다. 비는 원세조(元世祖)의 딸 장목왕후(莊穆王后, 齊國大長公主, 몽고명 忽都魯揭里迷失公主), 구비(舊妃)는 시안공(始安公) 인(絪)의 딸 정화궁주(貞和宮主)숙창원비(淑昌院妃) 김씨이다.

1260년(원종 1) 태자에 책봉되고, 1271년 원나라에 가서 세조에게 혼인 허락을 받고, 이듬해 귀국시에 몽고풍속인 변발(辯髮)과 호복(胡服)을 하여 고려인들은 탄식, 우는 자까지 있었다고 한다.
2. 몽고풍의 유행
1274년 5월제국대장공주와 혼인하였고, 원종이 죽자 원나라에서 돌아와 왕위에 올랐다.

대륙국가와의 왕실혼인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로써 고려는 역사의 한 전환기를 맞게 되어, 양국의 우호관계를 공고히 할 수 있었고 역대 권신들의 발호에 억눌려오던 왕실의 지위도 회복, 강화할 수 있었으나 자주성을 잃은 종속국으로 전락하여 이후 원나라의 많은 간섭을 받게 되었다. 결혼한 제국대장공주고려에 와서 몽고양식의 생활을 하고 사사로이 부리는 사람도 원나라에서 데려옴으로써 고려왕실에는 몽고의 풍속‧언어 등이 퍼지게 되었다.
3. 원나라의 간섭과 왜구의 침입
즉위년 10월 일본정벌이 원세조의 강요로 실행되어 1차로 여원연합군이 합포(合浦)에서 출정, 대마도(對馬島)김방경(金方慶)이 이끄는 고려군의 힘으로 무찔렀으나 뜻하지 않은 폭풍을 만나 본토정벌은 실패하였다.

1281년에 감행된 2차정벌도 폭풍을 만나 실패로 끝났다. 원나라는 이후에도 두번 더 정동행성을 설치하고 정벌준비를 강요하여 피해가 극심하였다.

1293년 왕은 공주와 함께 동정(東征)의 불가함을 직접 호소하고자 원나라로 갔는데 이듬해 원세조의 죽음으로 동정은 그쳤다.

1290년 원나라를 괴롭히던 내안(乃顔)의 여당인 합단(合丹)두만강을 건너 쳐들어와 왕은 원나라에 원군파병과 천도할 것을 요청하고 강화로 피란하였다.

이 싸움은 1년반 만에 원병의 협력으로 끝났는데 합단교주도(交州道)로 들어와 양근(楊根)원주를 함락하고 충주를 거쳐 연기에까지 침입하였으며, 이때 원충갑(元沖甲)한희유(韓希愈) 등의 활약이 컸다. 이밖에도 야인(野人)과 왜구의 잦은 침입이 있었으나 김방경의 활약으로 물리쳐 국운을 보존하였다.

원나라의 압력 밑에서도 국토 보존에 힘을 기울여 최탄(崔坦)이 몽고에 반부함으로써 생긴 동녕로(東寧路)원세조에게 직접 환부요청을 하여 1290년 돌려받아 여기에 서경유수관(西京留守官)을 설치하였고, 삼별초(三別抄)의 최후근거지로 몽고에 함락되어 다루가치총관부(達魯花赤總管府)가 설치되었던 탐라를 1294년에 원나라 성종(成宗)에게서 돌려받아 제주라 고치고 목사를 두었다.
4. 원나라의 내정간섭
원나라의 간섭은 직접 행정에도 미쳐 관제(官制)가 참월(僭越)하다고 고치기를 강요하여 1275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상서성(尙書省)을 합쳐 첨의부(僉議府)로, 추밀원(樞密院)밀직사(密直司)로, 어사대(御史臺)감찰사(監察司)로 고치고 육부(六部)도 폐합, 변경하여 전리사(典理司)군부사(軍簿司)판도사(版圖司)전법사(典法司)로 하였다.

그리고 조(祖)‧종(宗) 대신에 왕(王)을 칭하고 충성을 뜻하는 ‘忠’자를 붙이게 되었으며, 선지(宣旨)도 왕지(王旨)로, 짐(朕)은 고(孤)로, 사(赦)는 유(宥)로, 폐하(陛下)는 전하(殿下)로, 태자(太子)는 세자(世子)로 하였다.

또한, 일본정벌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였던 정동행성을 그대로 두어 내정을 간섭하는 일까지 있었다. 이밖에 몽고직제의 영향으로 생겨난 관직도 있으니 몽고식 기병이 야간순찰을 돌게 하는 순마소(巡馬所), 매 잡는 것을 임무로 하는 응방(鷹坊), 귀족의 자제로 일찍이 왕을 좇아 원나라에 질자(質子, 禿魯花)가 되었다가 순번제로 숙위(宿衛)의 임무를 맡은 홀지(忽赤, 忽只), 몽고어를 습득하게 하는 통문관(通文官) 등이 있고, 관직은 아니지만 공주를 따라온 겁령구(怯怜口: 私屬人) 등이 있었다.

이곳 소속 관원들은 사전(賜田)의 특권을 누리고, 원나라의 세력을 믿고 당대 세력가들로 부상하여 부역에 시달려 도망하는 양민을 모아 농장(農莊)을 경영하고 조세를 가로채고 주현(州縣)의 부세(賦稅)를 좀먹어 양민을 괴롭혔다.

또 특수임무를 띤 별감(別監)이 자주 주현에 파견됨으로써 지방민의 피해가 극심하였다.

특히, 왕 자신이 세자나 공주가 말릴 정도로 사냥을 좋아하여 국고를 고갈시켰고 이로써 매를 관리하는 응방의 적폐는 특히 심하였다.
5. 몰락과정
1298년 왕의 총애를 믿고 세력을 부리던 궁인 무비(無比)가 그 당류와 함께 세자(뒤의 충선왕)에게 주살되자 정치에 염증을 느껴 세자에게 왕위를 넘기고 태상왕(太上王)이 되었고, 원나라에서 부마 상주국 일수왕(駙馬上柱國逸壽王)의 호를 받았다.

이해 8월 충선왕이 왕비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의 무고로 국인(國印)을 빼앗기고 원나라로 가자 다시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이후부터는 정사는 돌보지 않고 사냥과 음주가무에만 몰두하였고, 부자간의 이간을 일삼는 왕유소(王惟紹)송린(宋璘)의 무리에 귀기울여 왕위를 서흥후(瑞興侯) 전(琠)에게 계승시키고 계국대장공주를 개가시키려는 음모에 동조하여 1305년 이를 성사시키려고 원나라로 직접 가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충선왕원나라 무종(武宗)의 옹립에 공이 커 원조정에서 위치가 강대해짐으로써 왕유소 일당은 처형되었고 왕도 귀국하게 되었다. 이후 실권은 세자에게 빼앗기고 1308년에 죽으니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며, 능은 경릉(慶陵: 開城 소재)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東國李相國集
元史

[집필자]

이기남(李起男)

왕명 : "충렬왕(忠烈王)"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3忠烈王諱諶丙申生元宗太子宋度宗咸淳十年甲戌立元成宗大德二年戊戌元詔王傳位于世子謜封王爲逸壽王同年又詔復位在
歷代總要v04建相麻田祀太祖惠宗成宗顯文宗元宗忠烈王恭愍王世宗乙巳改以祀太祖顯宗文宗元宗文宗辛未賜號崇義殿
紀年便攷v4許悰珙孫忠烈王養悰于宫中及長尙忠宣女壽春翁主屏人事日以醫藥活人爲事生長富貴而無驕色能守禮好施封定安 府院君忠穆乙酉
東國歷代總目v01忠烈王昛初名諶元宗太子在位三十四年
國朝事略v1高麗忠烈 王朝安裕 字君範 號晦軒 諡文成 本順興孚之子益齋 門人高麗忠烈王 朝官同平章事濟世安民一國大治我東無太學先生不勝慨然奉使中國奏於元順帝 請得孔夫子 與七十諸像二圖本
東史例v1永爲格式國學兼試大小經經義擧子難之今後除兼經義只試本經義毅宗八年五月更定初場迭試論策中場經義終場詩賦忠烈王六年五月王親試文臣賜黃牌或諸生之登第者親試之中者謂之殿試門生待遇異常十四年宰相蔡仁規子禑中第居同進士
東史例v1堂博士學諭執經升講每日不過五人每人不過二問從容論難悟疑辨惑○元宗二年三月置東西學堂各差別監敎學敎導○忠烈王三十年安珦建議令各品出銀布以充贍學錢以餘貲送江南購六經諸子史以來於是願學之士七管十二徒諸生橫經受業者
東史例v1部掌文銓兵部掌武選第其年月分其勞逸摽其功過論其才否具載于書謂之政案中書擬升黜以奏之門下承制勅以行之○忠烈王二十四年四月忠宣罷政房以翰林院主選法三十三年七月典理軍簿更定選法○忠宣二年十月文武銓選分委選摠部以首
東史例v1忠烈王元年置盤瑬色歛銀
寒臯觀外史v22與之從逰以考究文衍彥陽人賛成彥陽君謚榮僖衞尉尹良□之子太傳翊□公佺之孫太師□烈公就礪之曽孫書史自娛時忠烈王淑昌院主金氏文衍之妹也忠烈薨王自元奔喪到文衍家與院主相對移時人頗疑之仍蒸焉監察紏正禹倬白衣持斧上書極
歷代帝王紀年v01都松京宗名瞋康宗子十九年移都江華○元宗名植高宗子爲世子時謁元世祖于梁楚郊聞高宗薨反國都松京輯註始行○忠烈王名湛元宗子爲世子時入朝元世祖尙元公主程朱輯註始行學者得知性理之學蓋上黨君白頤正入元得而學李濟賢朴忠佑
國朝捷錄v01忠烈王室僉仅中贊文敬公許珙
彛齋先生實紀v2忠烈王八年壬午十二月寶文閣學士白文節卒出麗史提綱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