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오세재(吳世才)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24C138C7ACB1133X0
이명(異名)복양(濮陽)
자(字)덕전(德全)
시호(諡號)현정(玄靜)
생년1133(인종 11)
졸년?(미상)
시대고려중기
본관고창(高敞)
활동분야학자 > 유생
오인정(吳仁正)
조부오학린(吳學麟)

[상세내용]

오세재(吳世才)
1133년(인종 11)∼미상. 고려 중기 명종 때의 학자‧문인. 본관은 고창(高敞). 자는 덕전(德全).

한림(翰林) 오학린(吳學麟)의 손자이며, 부는 오인정(吳仁正)이다. 오세공(吳世功)오세문(吳世文)의 아우이다.

명종 때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성격이 소루(疎漏), 준철(俊哲)하여 검속(檢束)함이 적어 세상에 용납되지 못하였고, 친우 이인로(李仁老)가 세번이나 추천하였으나 끝내 벼슬에 오르지 못하였다.

그는 당시 18세였던 이규보(李奎報)에게 53세의 나이로 망년지교(忘年之交)를 허락하였고, 이른바 해좌칠현(海左七賢: 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이인로 등과 시주(詩酒)로 즐겼다.

만년에는 외할아버지의 출생지인 동경(東京: 지금의 慶州)으로 제고사(祭告使)의 축사(祝史)가 되어 역마를 타고 가 이내 그곳에 살면서 서울로 돌아오지 않았고, 마침내 가난에 시달리다 죽고 말았다.

『주역』을 암송하고 다른 육경 서적을 박통할 정도로 유학 경전에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작품도 당시에 상당한 평가를 받았으니, 이규보는 그의 시를 ‘준매경준(遵邁勁俊)’이라 하였고, 최자(崔滋)는 ‘풍섬혼후(豊贍渾厚)’라고 평한 바 있다.

또한 글씨에도 뛰어났으니, 경기체가 「한림별곡(翰林別曲)」 제3장에서 말한 바, “오생‧유생 양선생 위 주필경 하여(吳生劉生 兩先生 偉 走筆景 何如)”에서 오생은 바로 오세재를 가리킨다.

결론적으로 그는 명종시대 문신수난기를 통하여 현실에 타협 내지는 조화하지 못하고 문학과 시주에 탐닉하므로써 자신의 고민을 해소하려 한 것이다.

그러한 그에게 이규보는 나이를 떠난 진정한 벗이었으며, 이규보 역시 그의 재주를 아끼고 삶을 애석히 여겨 「오선생덕전애사(吳先生德全哀詞)」를 지어 추모하였다.

여기에서 이규보는 그를 복양선생(濮陽先生)이라 부르고, 친구 아닌 문하생의 입장에서 사사로이 현정선생(玄靜先生)이라 시호하여 영전에 바쳤다. 현재 전하는 작품으로는 『동문선』에 오언율시 2편, 칠언율시 1편이 있다.

[참고문헌]

東國李相國集
高麗史

[집필자]

박노춘(朴魯春)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