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여해(崔汝諧)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D5CC5ECD574B1101X0 |
시호(諡號) | 문정(文貞) |
생년 | 1101(숙종 6) |
졸년 | 1186(명종 16) |
시대 | 고려중기 |
본관 | 경주(慶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최여해(崔汝諧)
1101년(숙종 6)∼1186년(명종 16). 고려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과거에 급제, 울주통판(蔚州通判)을 거쳐 익양부(翼陽府)의 전첨(典籤)으로 있을 때에 익양공(翼陽公: 명종)이 왕위에 오르는 꿈을 꾸고 예언하였는데 뒤에 명종이 즉위하자 그 인연으로 나주판관에서 좌정언지제고(左正言知制誥)에 제배(除拜)되고, 이어 시어사 보문각대제(侍御史寶文閣待制)를 역임하였다.
1176년(명종 6) 간의대부 국자좨주(諫議大夫國子祭酒)로서 감시(監試)를 주관하여 시(詩)‧부(賦)로 이진승(李晉升) 등 8인과 십운시로 정세준(鄭世俊) 등 38인, 그리고 명경(明經) 1인을 시취(試取)하였다.
77세에 추밀원사 좌산기상시(樞密院使左散騎常侍)가 되고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치사(致仕)하였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과거에 급제, 울주통판(蔚州通判)을 거쳐 익양부(翼陽府)의 전첨(典籤)으로 있을 때에 익양공(翼陽公: 명종)이 왕위에 오르는 꿈을 꾸고 예언하였는데 뒤에 명종이 즉위하자 그 인연으로 나주판관에서 좌정언지제고(左正言知制誥)에 제배(除拜)되고, 이어 시어사 보문각대제(侍御史寶文閣待制)를 역임하였다.
1176년(명종 6) 간의대부 국자좨주(諫議大夫國子祭酒)로서 감시(監試)를 주관하여 시(詩)‧부(賦)로 이진승(李晉升) 등 8인과 십운시로 정세준(鄭世俊) 등 38인, 그리고 명경(明經) 1인을 시취(試取)하였다.
77세에 추밀원사 좌산기상시(樞密院使左散騎常侍)가 되고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치사(致仕)하였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高麗史節要
[집필자]
박성봉(朴性鳳)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