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수증(金壽增)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218C99DB1624X0
자(字)연지(延之)
호(號)곡운(谷雲)
생년1624(인조 2)
졸년1701(숙종 27)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新])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부김상헌(金尙憲)
저서『곡운집』

[상세내용]

김수증(金壽增)
1624년(인조 2)∼1701년(숙종 27).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 본관은 안동(安東[新]). 자는 연지(延之), 호는 곡운(谷雲).

조부는 김상헌(金尙憲)이다.

1650년(효종 1)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1652년에는 세마(洗馬)가 되었다.

그뒤 형조정랑공조정랑을 거쳐 각사(各司)의 정(正)을 두루 역임하였다. 젊어서부터 산수를 좋아하여 금강산 등 여러 곳을 유람한 뒤 기행문을 남기기도 하였으며, 1670년(현종 11)에는 지금의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영당동에 복거(卜居)할 땅을 마련하고 농수정사(籠水精舍)를 지었다.

그뒤 1675년(숙종 1)에 성천부사로 있던 중, 동생 김수항(金壽恒)송시열(宋時烈)과 함께 유배되자 벼슬을 그만두고 농수정사로 돌아갔다.

이때 주자(朱子)의 행적을 모방하여 그곳을 곡운(谷雲)이라 하고, 곡운구곡(谷雲九曲)을 경영하면서 화가인 조세걸(曺世傑)을 시켜 「곡운구곡도」를 그리게 하는 등 글씨와 그림에 관심을 기울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송시열과 동생 김수항 등이 죽자, 벼슬을 그만두고 화음동(華蔭洞)에 들어가 정사를 짓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694년 갑술옥사 후 다시 관직에 임명되어 한성부좌윤공조참판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퇴한 뒤 세상을 피해 화악산(華嶽山) 골짜기로 들어가 은둔하였다.

이때 그는 성리학에 심취하여 북송(北宋)의 성리학자들과 주자의 성리서를 탐독하였다. 그 가운데에서 특히 소강절(邵康節)의 음양소식관(陰陽消息觀)을 정사의 조경(造景)에 응용하였다.

이와같은 사상을 도상화(圖象化)하는 데 힘을 기울여, 주돈이(周敦頤)주자의 행적에 나타나는 「태극도」‧「하도낙서(河圖洛書)」‧「선후천팔괘도(先後天八卦圖)」 등을 정사의 경내에 있는 바위에 새겨 ‘인문석(人文石)’이라 하였다.

또한, 계곡에 있는 바위들에 천근석(天根石)‧월굴암(月窟巖) 등 소강절의 사상시(思想詩)에 나오는 음양소식관을 담은 이름도 붙여 조경을 하였다. 이들의 유적은 지금도 남아 있어 성리사상이 건축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춘천춘수영당(春睡影堂)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곡운집』이 있다.

[참고문헌]

孝宗實錄
肅宗實錄
國朝人物考
性理大全
谷雲集
九曲圖의 發生과 機能에 對하여(兪俊英, 考古美術 151, 1981)
造形藝術과 性理學(兪俊英, 한국미술사논문집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집필자]

유준영(兪俊英)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