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계능(洪啓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ACC4B2A5D1776X0
호(號)신계(莘溪)
생년?(미상)
졸년1776(정조 즉위)
시대조선후기
본관남양(南陽[唐])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우조(洪禹肇)

[관련정보]

[상세내용]

홍계능(洪啓能)
미상∼1776년(정조 즉위).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唐]). 호는 신계(莘溪). 참봉 홍우조(洪禹肇)의 아들이다.

1750년(영조 26) 우의정 정우량(鄭羽良)의 천거로 등용되어 1757년 왕손교부(王孫敎傅)가 되고, 이듬해 자의(諮議)가 되었다.

1759년 평안도도사로 나갔다가 곧 돌아와 지평을 거쳐 이듬해 집의로 승진하였으며, 1763년 세자시강원진선이 되었다.

이듬해 성격이 난폭하고 남의 비방을 일삼는다 하여 파직되었다가, 1768년 다시 진선에 기용되었다.

이때 또 다른 풍산홍씨(豊山洪氏) 일파가 시파(時派)를 이루어 세손(世孫: 뒤의 정조)을 보호하려 하자 벽파(僻派) 홍인한(洪麟漢)과 더불어 세손의 즉위를 반대하였다가 정조가 즉위하자 하옥되어 옥사하였다. 아들 홍신해(洪信海)와 조카 홍이해(洪履海)도 모두 주살(誅殺)당하였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續明義錄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대표명홍계능(洪啓能)
계능(啓能)
성명홍계능(洪啓能)
신계(莘溪)

성명 : "홍계능(洪啓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東國歷代總目v02卒上復政諡世子曰思悼前右相趙載浩賜死甲申命世孫嗣孝章世子後○癸未召致贊善宋明欽○明欽言事不合而去儒臣洪啓能金亮行伸救竝被罪至是召致
待闡錄v10魯壻果離而復率云前參判李玾亦上疏自首司諫李顯永疏請申光綏追集厚謙兄弟散配絶島允之大諫李義翊啓曰前執義洪啓能素有狂疾爲儕流所棄其親切者悶之送置郊外旬日之後忽爲儒者貌樣人皆絶倒歲月稍久嗾所親者忽爲抄選愚濫之習由
政堂故事v6前此二月前知敦尹鳳九前參議申暻掌令洪啓能李養源前持平崔再興金亮行前咨議宋德相遣史官幷傳諭使之入來又遣史官傳諭工議金元行偕來金申皆書啓謝不來至
政堂故事v11前執義洪啓能素有狂疾爲儕流所棄其親切者悶之送置郊外旬日之後忽爲儒者貌樣人皆絶倒歲月稍久所親者忽爲抄選其愚濫之習由
國朝捷錄v01任道李載亨嘉會松岩持平全州人韓元震德邵南塘崔是翁持平朔寧人金鍾厚伯高本庵執義宋能相士能雲坪執義恩津人洪啓能南陽人李鳳祥儀韶執義全州人金正默而運遇齋持平光山人閔彝顯公著掌令呂興人鄭宗魯持平晉州人金壽祖士久持平
上謚封園都監儀軌n1-1책無容別議云判府事臣韓翼謩病昏 委頓末由獻議副護軍臣洪啓能以爲臣以萬不近似之 身猥充儒臣之數問議之命至再至三
東國續修文獻錄v1會松巖全州人持平韓元震德昭南塘淸州人崔是翕朔寧人持平金鍾厚伯吉本菴淸風人執義宋能相士能雲坪恩津人執義洪啓能南陽人李鳳祥儀韶全州人執義金正默而運過齋光山人持平閔彝顯公著驪興人掌令鄭宗魯立齋晉州人持平金壽祖士久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