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영길(金永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601AE38B1596X0
이명(異名)나가타 겐지로(永田絃次郞)
생년1909(융희 3)
졸년1985
시대항일기
활동분야예술‧체육

[상세내용]

김영길(金永吉)
1909년(융희 3)∼1985년. 일제 강점기 가수‧영화배우. 창씨 개명한 이름은 나가타겐지로[永田絃次郞]이다. 출신지는 평안남도 강동군(江東郡)이다.

1928년 평양 제2중학교를 졸업하고,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동경일일신문음악콩쿠르 성악부문에서 3년 연속 입상하였다.

1935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킹레코드 전속가수로 활동하면서 많은 군국가요 애국가요의 음반을 녹음하였는데, 1935년에는 「일본행진곡(日本行進曲)」‧「일어나라 동포(起きて同胞)」‧「아시아에 새벽(亞細亞の曙)」, 1936년에는 「약진 일본(躍進日本)」, 1937년에는 「영광있어라 일억(譽れ一億)」‧「출정군인을 보내는 노래(出征軍人を送る歌)」‧「일본남아(日本男兒)」‧「아침(朝)」‧「청년 행진곡(靑年行進曲)」‧「흑조를 넘어서(黑潮を越えて)」‧「황군에 대한 헌시 적성총후의 노래(皇軍へ獻詩 赤誠銃後の歌)」‧「월하의 참호(月下の塹壕)」, 1938년에는 「기원 2600년 기념 일본만국박람회 행진곡(紀元二千六百年記念日本萬國博覽會行進曲)」‧「대만행진곡(臺灣行進曲)」‧「신일본행진곡(新日本行進曲)」‧「대아시아행진곡(大亞細亞行進曲)」‧「일본 남아다(日本男兒だ)」‧「일본의 노래(日の國の歌)」‧「빛나는 승리(輝く勝利)」‧「애국 행진곡(愛國行進曲)」‧「철두 행진곡(鐵兜行進曲)」‧「군국 뱃노래(軍國舟唄)」‧「항주만 상륙부대의 노래(杭州灣上陸部隊の歌)」‧「아아 애국의 피는 끓는다(ああ愛國の血は燃える)」, 1939년에는 「아침해는 오른다(旭はのぼる)」‧「애마 진군가(愛馬進軍歌)」‧「소년 전차병의 노래(少年戰車兵の歌)」‧「성스런 일본의 노래(聖日本の歌)」‧「대일본 행진곡(大日本行進曲)」‧「전차의 진격(戰車の進擊)」‧「아아 일장기 아래서(ああ日の丸の下で)」‧「흥아 노래(興亞音頭)」, 1940년에는「기원 이천육백년(紀元二千六百年)」‧「출정 항로(出征航路)」‧「만주제국 황제폐하 봉영 국민가(滿洲帝國皇帝陛下奉迎國民歌)」‧「흥아 행진곡(興亞行進曲)」‧「일본 근로의 노래(日本勤勞の歌)」‧「해변의 승투(濱の勝鬪)」‧「흑조를 뒤집어쓰고(黑潮浴びて)」, 1941년에는 「전진훈의 노래(戰陣訓の歌)」‧「바다의 진군(海の進軍)」‧「제2의 조국(第二の祖國)」‧「내어라 일억의 저력(出せ一億の底力)」‧「대정익찬의 노래(大政翼贊の歌)」‧「남진 일본의 노래(南進日本の歌)」‧「일본 근로의 노래(日本勤勞の歌)」‧「세기의 젊은이(世紀の若人)」, 1942년에는 「황해의 대첩(黃海の大捷)」‧「일본의 결의(日本の決意)」‧「대동아 행진곡(大東亞行進曲)」‧「제군을 믿는다!(諸君賴む!)」‧「무적 황군(無敵皇軍)」‧「군신 암좌 중좌(軍神巖佐中佐)」‧「특별 공격대(特別攻擊隊)」‧「신병 이기고(神兵捷りて)」‧「빛나라 군함기(輝く軍艦旗)」‧「시마시마의 야마토 혼을(しましまのやまと心を)」‧「우리들은 병사로 부르심을 받았다(我等は兵に召されたり)」‧「정복하라 런던(征けロンドン)」‧「아아 야마모토 원수(ああ山本元帥)」‧「천황의 백성인 우리들(みたみわれ)」, 1944년에는 「군로 보국대의 노래(勤勞報國隊の歌)」‧「젊은 날개(若き翼)」, 1945년에는 「카미가제 노래(神風節)」 등이 있다.

이러한 음반 발매 활동 이외에 1941년 지원병 선전 및 ‘내선일체’ 주제의 조선군보도부 제작 영화 『그대와 나(君と僕)』의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는 ‘그대’인 일본인과 ‘나’인 조선인이 손을 굳게 잡아 대동아공영권의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내용의 영화이다. 이 영화의 상영이 끝난 후 ‘그대와 나 친구 모임(君と僕友’の會)’에서 연락계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1942년 11월 징병제실시 감사의 밤 연주회에서 「징병의 노래」를 독창하였으며, 1943년 7월에는 징병제 실시 축하 음악회에 출연하여 「우리들은 병사로 부르심을 받았다」라는 노래의 가요를 지도하였다. 같은 해 8월에는 반도 징병제 실시 기념 대연설회에서 노래했고, 12월에는 반도학생 지원병 장행음악회에서 노래를 불렀다.

[참고문헌]

京城日報(1941.12.5) 등
매일신보(1942.11.19) 등
キングレコード, K421 등
조선민족음악가사전(김덕균 외, 연변대학출판사, 1998)
해방전(1940∼1945) 상영 시나리오집(이재명 외, 평민사, 2004)

[집필자]

강태구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