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봉로(李鳳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D09B85CB1872X0
이명(異名)이세봉(李世鳳)
호(號)약송(若松)
생년1902(광무 6)
졸년1940
시대항일기
본관전의(全義)
활동분야호국 > 독립운동가

[상세내용]

이봉로(李鳳魯)
1902년(광무 6) 7월 20일∼1940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호는 약송(若松)이고, 다른 이름은 이세봉(李世鳳)이다.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본적은 경상북도 달성(達城)이다.

행수충갈성분무공신(行輸忠竭誠奮武功臣) 가의대부(嘉義大夫) 평안도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전양군(全陽君) 증자헌대부 병조판서(贈資憲大夫兵曹判書) 이익필(李益馝)의 후손으로, 조부는 경주군수(慶州郡守) 이현주(李玄澍)이고, 부친은 소정(小汀) 이근영(李根泳)이다.

김창숙(金昌淑) 등과 함께 한국 유림단 대표로 활동하였다. 파리장서(巴里長書)를 파리강화회의에 제출하기 위해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였다. 이후 그곳에서 임시 정부 조직에 참여하였다.

1924년 김창숙‧김화식(金華植)‧송영호(宋永祜)‧손후익(孫厚翼) 등과 함께 독립운동을 위한 총기 및 탄약을 국내에 반입하였고, 군자금 모금운동을 전개하던 중에 중국 북경(北京)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후 대구로 호송되어 미결수로 2년여 간 고초를 겪다가,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로부터 공훈을 인정받아 1963년 대통령표창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인명대사전
한국사대사전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