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인(李範仁)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BC94C778B1858X0 |
자(字) | 성원(性元) |
생년 | 1858(철종 9)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관리 |

부 | 이계하(李啓夏)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범인(李範仁)
1858년(철종 9)~미상. 조선 말기 관리. 자는 성원(聖元)‧성원(性元)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부친은 통사랑(通仕郞) 행종친부참봉(行宗親府參奉) 이계하(李啓夏)이다.
1873년(고종 10) 식년시에서 진사 3등 177위로 합격하였고, 1888년(고종 25) 별시 문과에서 병과 9위로 급제하였다.
1890년(고종 27) 승정원(承政院)의 주서(注書)로 추천되었고, 1891년(고종 28)에는 신좌균(申佐均)‧이용구(李容九)‧최창부(崔昌溥) 등과 함께 홍문록(弘文錄)에 선발되었다. 1905년(광무 9) 그 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품계를 올려 받았으며,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에 임명되었다. 이후 봉상사제조(奉常司提調) 등을 역임하였다.
1910년(융희 4)에 품계가 정 2품으로 올랐다.
부친은 통사랑(通仕郞) 행종친부참봉(行宗親府參奉) 이계하(李啓夏)이다.
1873년(고종 10) 식년시에서 진사 3등 177위로 합격하였고, 1888년(고종 25) 별시 문과에서 병과 9위로 급제하였다.
1890년(고종 27) 승정원(承政院)의 주서(注書)로 추천되었고, 1891년(고종 28)에는 신좌균(申佐均)‧이용구(李容九)‧최창부(崔昌溥) 등과 함께 홍문록(弘文錄)에 선발되었다. 1905년(광무 9) 그 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품계를 올려 받았으며,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에 임명되었다. 이후 봉상사제조(奉常司提調) 등을 역임하였다.
1910년(융희 4)에 품계가 정 2품으로 올랐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國朝榜目
司馬榜目
純宗實錄
國朝榜目
司馬榜目
純宗實錄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