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윤상철(尹相澈)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4C0C1CCA0B1850X0
자(字)형로(瀅老)
생년1850(철종 1)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파평(坡平)
활동분야문신
윤자응(尹滋膺)
생부윤자남(尹滋男)

[상세내용]

윤상철(尹相澈)
1850년(철종 1)~미상. 조선 말기 문신. 자는 형로(瀅老)이다.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증조부는 윤성규(尹星圭)이고, 조부는 통덕랑(通德郞) 윤원진(尹元鎭)이며, 부친은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밀양도호부사(行密陽都護府使) 윤자응(尹滋膺)이다. 생부는 윤자남(尹滋男)이다. 형은 윤상직(尹相稷)이고, 동생은 윤상우(尹相愚)이다.

1873년(고종 10) 식년시에 진사 3등 17위로 합격하였고, 1892년(고종 29) 별시 문과에 병과 11위로 급제하였다.

1892년(고종 29)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에 임명되었다. 1893년(고종 30) 전사간(前司諫) 권봉희(權鳳熙)가 나라에 기근이 들고 백성들은 도탄에 빠졌으며 이교(異敎)가 횡행하고 있는데, 이는 임금을 보좌하는 높은 관리들을 적임자로 얻지 못하였기 때문이라는 상소를 올렸다. 이때 윤상철(尹相澈)은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로서 부응교(副應敎) 여규형(呂圭亨) 등과 함께 권봉희를 잡아다 심문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 같은 해 시강원문학(侍講院文學)에 제수되었고, 북관왕묘(北關王廟)에 작헌례(酌獻禮)를 행할 때 상례(相禮)로 참여하여 승급된 후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에 임명되었다. 1910년(융희 4) 정2품으로 승급되었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집필자]

손용석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