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희상(林羲相)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84D76CC0C1B1847X0
자(字)경부(敬夫)
생년1847(헌종 13)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나주(羅州)
활동분야문신
임한수(林翰洙)

[상세내용]

임희상(林羲相)
1847년(헌종 13)~미상. 조선 말기 문신. 자는 경부(敬夫)이다.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증조부는 임준철(林浚喆)이고, 조부는 임기진(林箕鎭)이다. 부친 판서(判書) 임한수(林翰洙)와 모친 성재오(成載五)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881년(고종 18) 일차유생(日次儒生)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험에서 민종식(閔宗植) 등과 함께 전시(殿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았고, 1882년(고종 19) 별시 문과에서 병과 15위로 급제하였다. 이후 승정원(承政院)의 주서(注書)로 추천되었다. 1883년(고종 20) 신용선(申容善)‧윤길구(尹吉求)‧정은조(鄭誾朝) 등과 함께 도당록(都堂錄)에 선발되었고, 1888년(고종 25) 집의(執義)로 재직하던 중, 죄인 지운영(池運永)의 석방을 반대하는 상소에 참여하였다. 1891년(고종 28) 왕대비(王大妃)의 망칠(望七)을 경축하는 행사에서 선전관(宣箋官)의 소임을 수행하여 품계를 올려 받았다고, 1892년(고종 29)에는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에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國朝榜目
文蔭譜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