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병규(趙昺奎)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70BCD1ADDCB1849X0
자(字)사익(士翼)
호(號)일산(一山)
생년1846(헌종 12)
졸년1931
시대조선후기
본관함안(咸安)
활동분야학자 > 유생

[상세내용]

조병규(趙昺奎)
1846년(헌종 12)∼1931년. 조선 말기 유학자. 자는 사익(士翼)이고, 호는 일산(一山)이다. 본관은 함안(咸安)이고, 출신지는 경상남도 함안군(咸安郡) 산인면(山仁面)이다.

생육신 어계(漁溪) 조려(趙旅)의 후손으로, 부친 조성각(趙性覺)의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으로 조갑규(趙甲奎)‧조필규(趙必奎)가 있다.

조선 말기 기호남인(畿湖南人)의 종장(宗匠)으로 알려진 허전(許傳)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1876년(고종 13) 식년시 생원과에 3등 10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특히 예학(禮學)에 관심을 가져 『사예요의(士禮要儀)』를 편찬하였다. 그 외 현실적인 경세론에도 밝아 「논균전(論均田)」‧「논적저(論積儲)」‧「논첨정(論簽丁)」‧「논차제(論車制)」를 지어 당시 식량비축과 교통문제‧세금부과 등의 폐단을 지적하였다. 「신독잠(愼獨箴)」과 「관선잠(觀善箴)」을 지어 좌우명으로 삼고 후진교육에 전념하였으며, 1898년 고향인 함안의 사립학교인 천명학교(闡明學校) 건립에도 기여하였다.

문집으로 『일산선생문집(一山先生文集)』 16권 9책이 전한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皇城新聞(1898.3.8)

[집필자]

고윤수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