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일영(申一永)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2E0C77CC601B1845X0 |
자(字) | 태경(太敬) |
생년 | 1845(헌종 11)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평산(平山)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신기선(申幾善) |
생부 | 신후선(申厚善) |

[상세내용]
신일영(申一永)
1845년(헌종 11)~미상. 조선 말기 문신. 자는 태경(太敬)이다. 본관은 평산(平山)이다.
증조부는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낸 신상현(申常顯)이고, 조부는 대유학자 홍직필(洪直弼)의 문인으로서 이조(吏曹)‧예조(禮曹)‧형조(刑曹)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좌의정(左議政)에 오른 신응조(申應朝)이며, 부친은 신기선(申幾善)이다. 생부는 신후선(申厚善)이다.
1872년(고종 9) 정시 문과에 병과 8위로 급제하였다.
1873년(고종 10) 한림권점(翰林圈點)에서 김홍집(金弘集) 등과 함께 권점을 받았고, 심상학(沈相學)‧이교하(李敎夏) 등과 함께 임금에게 천거되었다. 이후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홍문관부수찬(弘文館修撰)‧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등에 임명되었다. 1882년(고종 19) 승정원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1894년(고종 31)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에 제수되었다. 1897년(광무 1)에 연산군수(連山郡守)에 임명되었으나 다음 해 면직되었고, 1903년(광무 7)에 전화과주사(電話課主事)에 임명되었다.
증조부는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낸 신상현(申常顯)이고, 조부는 대유학자 홍직필(洪直弼)의 문인으로서 이조(吏曹)‧예조(禮曹)‧형조(刑曹)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좌의정(左議政)에 오른 신응조(申應朝)이며, 부친은 신기선(申幾善)이다. 생부는 신후선(申厚善)이다.
1872년(고종 9) 정시 문과에 병과 8위로 급제하였다.
1873년(고종 10) 한림권점(翰林圈點)에서 김홍집(金弘集) 등과 함께 권점을 받았고, 심상학(沈相學)‧이교하(李敎夏) 등과 함께 임금에게 천거되었다. 이후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홍문관부수찬(弘文館修撰)‧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등에 임명되었다. 1882년(고종 19) 승정원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1894년(고종 31)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에 제수되었다. 1897년(광무 1)에 연산군수(連山郡守)에 임명되었으나 다음 해 면직되었고, 1903년(광무 7)에 전화과주사(電話課主事)에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
[집필자]
손용석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