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송은성(宋殷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A1C740C131B1816X0
자(字)원백(元白)
호(號)백하(白下)
호(號)해기(海寄)
생년1836(헌종 2)
졸년1898(광무 2)
시대조선후기
본관청주(淸州)
활동분야학자 > 유생

[상세내용]

송은성(宋殷成)
1836년(헌종 2)∼1898년(광무 2). 조선 말기 학자. 자는 원백(元白)이고, 호는 백하(白下)‧해기(海寄)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출생지는 경상북도 의성(義城)이다.

부친 송재선(宋在譱)과 모친 통덕랑(通德郞) 손택관(孫宅觀)의 딸 밀양손씨(密陽孫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노석구(盧錫龜)와 허전(許傳)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丙寅洋擾)가 일어나 세상이 어수선해지자 소백산 아래 머물면서 오직 학문에만 힘썼다. 경상도관찰사 이근필(李根弼)과 순흥부사(順興府使) 임철수(林徹洙)의 권유로 치른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대원군 이하응(李昰應)과 대면하여 정치를 논하고, 만언소(萬言疏)를 작성하여 올렸다. 1884년(고종 21) 갑신정변이 일어나 14개조 정강을 마련하자 이에 반대하는 소를 올려 대항하였다. 그 후 세상과 연을 끊고 신좌모(申佐模) 등과 함께 교유하며 후진을 양성하는 데 전력하였다.

저서로 『백하문집(白下文集)』 4권이 있다.

[참고문헌]

白下文集

[집필자]

김혜영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