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규찬(朴奎燦)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ADDCCC2CB1838X0
자(字)성약(聖若)
호(號)우담(愚潭)
생년1838(헌종 4)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순천(順天)
활동분야문신
박민겸(朴民謙)

[상세내용]

박규찬(朴奎燦)
1838년(헌종 4)~미상.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성약(聖若)이고, 호는 우담(愚潭)이다. 본관은 순천(順天)이고, 거주지는 충청북도 단성(丹城: 현 단양)이다.

증조부는 박상제(朴尙悌)이고, 조부는 박문혁(朴文赫)이며, 부친은 박민겸(朴民謙)이다. 외조부는 하계명(河啓明)이고, 처부는 신재순(愼在淳)이다.

1865년(고종 2) 식년시에 병과 28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정언(正言)‧부수찬(副修撰)‧교리(校理)‧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등을 역임하였다.

1886년(고종 23)에 대왕대비의 80세를 축하하는 예식에 우통례(右通禮)로 참여하여 가자되었다. 1893년(고종 30) 부호군(副護軍)으로 재직하던 중 철폐한 서원(書院)을 다시 세우고, 사문(斯文: 유학)을 흥기(興起)시킨다면 백성들이 교화되어 동학(東學)과 같은 나라의 괴변(怪變)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을 내세우며 전국에 서원을 세울 것을 상소하였으나, 이는 경솔하게 논의할 사안이 아니라는 답변을 들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

[집필자]

김경희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