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한진계(韓鎭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55CC9C4ACC4B1814X0
자(字)대림(大臨)
생년1814(순조 14)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청주(淸州)
활동분야문관
한치준(韓致駿)

[상세내용]

한진계(韓鎭棨)
1814년(순조 14)~미상. 자는 대림(大臨)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거주지는 경기도 용인(龍仁)이다.

고조는 한종집(韓宗集)이고, 증조부는 한세녕(韓世寧)이며, 조부는 한광악(韓光岳)이다. 부친은 한치준(韓致駿)이고, 외조부는 박동선(朴東善)이다. 부인은 정의진(丁義晉)의 딸이다.

1849년(헌종 15)에 식년시 문과에서 병과 7위로 급제하였다.

1853년(철종 4)에는 이강준(李綱峻)‧강장환(姜長煥)‧이현문(李玄文)‧이응정(李應貞) 등과 함께 관록(館錄)에 선발되었으며, 같은 해 임백능(任百能)‧유세환(兪世煥)‧이강준(李綱峻)‧강장환(姜長煥)‧ 등과 함께 도당록(都堂錄)에 이름이 올랐다. 1855년(철종 6)에 옥당(玉堂)에서 사도세자의 추존을 청하였다가 벌을 받은 유치명(柳致明)에 대해 국청을 설치하고 실정을 알아낼 것에 대해 함께 글을 올렸으나 윤허받지 못했다. 1859년(철종 10) 북평사(北評事)로 있을 때, 정재영(丁載榮)의 소에 의해 논죄를 받아 간삭(刊削)의 형을 받았으며, 함경감사 윤치수(尹致秀)의 논계(論啓)로 인해 죄를 받았다. 이후 교리(校理), 집준(執尊)등을 역임하였는데, 1867년(고종 4) 9월에 헌릉(獻陵)‧목릉(穆陵)‧인릉(仁陵)‧수릉(綏陵)‧경릉(景陵)에 직접 제사를 지낼 때 집준(執尊)으로 참여하여 품계를 올려 받았다. 이후 춘천부사(春川府使)‧은산현감(殷山縣監)‧금천군수(金川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國朝榜目
縉紳八世譜
哲宗實錄

[집필자]

문혜경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