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용묵(成容黙)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131C6A9BB35B1799X0 |
자(字) | 여규(汝圭) |
생년 | 1799(정조 23)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창녕(昌寧)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성산주(成山柱) |

[상세내용]
성용묵(成容黙)
1799년(정조 23)~미상.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여규(汝圭)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증조부는 성윤석(成胤錫)이고, 조부는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이조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성덕우(成德雨)이며, 부친은 성산주(成山柱)이다. 모친은 한광근(韓光近)의 딸이다.
1837년(헌종 3) 식년시 문과에 병과 1위로 급제하였다.
1842년(헌종 8) 홍문록(弘文錄)‧도당회권(都堂會圈)에 이름이 올랐다. 1846년(헌종 12)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으로 재직할 때 대사간(大司諫) 김필(金{金+弼})‧집의(執義) 이노규(李魯奎)‧지평(持平) 나채규(羅采奎)‧헌납(獻納) 유안(柳晏)‧정언(正言) 이승규(李承圭) 등과 함께 중궁전(中宮殿)의 문후(問候)와 관련된 상소를 올렸다. 이 일로 인해 여도(呂島)에 유배되었다. 1855년(철종 6) 순강원(順康園)에서 작헌례(酌獻禮)를 올렸을 때 대축(大祝)으로 참여하여 승급되었다. 1862년(철종 13) 도정(都政)에서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으로 임명되었고, 고종 대에도 사간원대사간‧부호군(副護軍)으로 활동하였다.
증조부는 성윤석(成胤錫)이고, 조부는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이조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성덕우(成德雨)이며, 부친은 성산주(成山柱)이다. 모친은 한광근(韓光近)의 딸이다.
1837년(헌종 3) 식년시 문과에 병과 1위로 급제하였다.
1842년(헌종 8) 홍문록(弘文錄)‧도당회권(都堂會圈)에 이름이 올랐다. 1846년(헌종 12)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으로 재직할 때 대사간(大司諫) 김필(金{金+弼})‧집의(執義) 이노규(李魯奎)‧지평(持平) 나채규(羅采奎)‧헌납(獻納) 유안(柳晏)‧정언(正言) 이승규(李承圭) 등과 함께 중궁전(中宮殿)의 문후(問候)와 관련된 상소를 올렸다. 이 일로 인해 여도(呂島)에 유배되었다. 1855년(철종 6) 순강원(順康園)에서 작헌례(酌獻禮)를 올렸을 때 대축(大祝)으로 참여하여 승급되었다. 1862년(철종 13) 도정(都政)에서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으로 임명되었고, 고종 대에도 사간원대사간‧부호군(副護軍)으로 활동하였다.
[참고문헌]
憲宗實錄
哲宗實錄
高宗實錄
承政院日記
哲宗實錄
高宗實錄
承政院日記
[집필자]
손용석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