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치후(尹致後)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4CE58D6C4B1777X0 |
생년 | 1777(정조 1) |
졸년 | 1812(순조 12)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해주(海州)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윤응열(尹凝烈) |

[상세내용]
윤치후(尹致後)
1777년(정조 1)~1812년(순조 12).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증조부는 윤득선(尹得宣)이고, 조부는 윤상동(尹尙東)이다. 부친 윤응열(尹凝烈)과 모친 이관정(李寬鼎)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807년(순조 7)에 문묘(文廟)에서 작헌례(酌獻禮)를 시행한 이후 그 뜻을 기리기 위하여 춘당대(春塘臺)에서 알성과(謁聖科)를 치렀는데, 이 시험에 참여하여 문과 갑과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809년(순조 9)에는 김학순(金學淳)‧박주수(朴周壽)‧윤치겸(尹致謙) 등과 함께 홍문록(弘文錄)에 선발되었다. 이후 교리(校理) 등을 역임하였다.
1812년(순조 12)에 홍경래(洪景來)의 난에 연루되어 국문(鞠問)을 받았는데, 심문 결과 홍경래의 난이 발생했을 때 처를 맞이한다는 핑계로 피신의 계책을 세웠고, 박종일(朴鍾一)에게 여러 가지 흉언을 전한 사실이 드러났다. 그뿐만 아니라 홍경래의 무리들이 도성으로 쳐들어와서 양반들을 도륙할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음에도, 이 사실을 미리 아뢰지 않았다는 정황이 밝혀졌다. 그 결과 사형을 받아 죽임을 당하였다.
증조부는 윤득선(尹得宣)이고, 조부는 윤상동(尹尙東)이다. 부친 윤응열(尹凝烈)과 모친 이관정(李寬鼎)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807년(순조 7)에 문묘(文廟)에서 작헌례(酌獻禮)를 시행한 이후 그 뜻을 기리기 위하여 춘당대(春塘臺)에서 알성과(謁聖科)를 치렀는데, 이 시험에 참여하여 문과 갑과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809년(순조 9)에는 김학순(金學淳)‧박주수(朴周壽)‧윤치겸(尹致謙) 등과 함께 홍문록(弘文錄)에 선발되었다. 이후 교리(校理) 등을 역임하였다.
1812년(순조 12)에 홍경래(洪景來)의 난에 연루되어 국문(鞠問)을 받았는데, 심문 결과 홍경래의 난이 발생했을 때 처를 맞이한다는 핑계로 피신의 계책을 세웠고, 박종일(朴鍾一)에게 여러 가지 흉언을 전한 사실이 드러났다. 그뿐만 아니라 홍경래의 무리들이 도성으로 쳐들어와서 양반들을 도륙할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음에도, 이 사실을 미리 아뢰지 않았다는 정황이 밝혀졌다. 그 결과 사형을 받아 죽임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