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장(李熙章)
[요약정보]
| UCI | G002+AKS-KHF_13C774D76CC7A5B1771X0 |
| 자(字) | 사헌(士憲) |
| 생년 | 1771(영조 47) |
| 졸년 | ?(미상) |
| 시대 | 조선후기 |
| 본관 | 농서(隴西) |
| 활동분야 | 무신 |

| 부 | 이효승(李孝承) |
| 생부 | 이세번(李世蕃) |

[상세내용]
이희장(李熙章)
1771년(영조 47)~미상. 조선 후기 무신. 자는 사헌(士憲)이다. 본관은 농서(隴西)이다.
충렬공(忠烈公) 이여송(李如松)의 후손으로, 조부는 이원(李蒝)이다. 부친은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용양위부호군(行龍驤衛副護軍) 이효승(李孝承)이고, 생부는 학생(學生) 이세번(李世蕃)이다. 형은 이희완(李熙琓)이다.
1800년(정조 24) 별시 무과에서 병과 8위로 급제하였다.
같은 해, 이여송의 후손이라는 이유로 임금으로부터 특별히 지시가 내려져 도총부경력(都摠府經歷)에 임명되었다. 1805년(순조 5) 상원군수(祥原郡守)로 재직 중, 평안남도암행어사(平安南道暗行御史) 홍병철(洪秉喆)을 통해 고을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한 사실이 드러나게 되어 탄핵을 당하였다. 1812년(순조 12) 영의정(領議政) 김재찬(金載瓚)의 건의에 따라 복직되었다. 이후 익산군수(益山郡守)에 임명되었지만, 전라도암행어사(全羅道暗行御史) 홍대호(洪大浩)를 통해 재차 고을을 잘못 다스린 점이 드러나게 되어 파직되었다. 1818년(순조 18) 우의정(右議政) 남공철(南公轍)이 그의 선조인 이여송의 공적을 거론하면서 재차 복직시킬 것을 청원하여 등용되었다. 1846년(헌종 12)에는 전라우도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에 임명되었다.
충렬공(忠烈公) 이여송(李如松)의 후손으로, 조부는 이원(李蒝)이다. 부친은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용양위부호군(行龍驤衛副護軍) 이효승(李孝承)이고, 생부는 학생(學生) 이세번(李世蕃)이다. 형은 이희완(李熙琓)이다.
1800년(정조 24) 별시 무과에서 병과 8위로 급제하였다.
같은 해, 이여송의 후손이라는 이유로 임금으로부터 특별히 지시가 내려져 도총부경력(都摠府經歷)에 임명되었다. 1805년(순조 5) 상원군수(祥原郡守)로 재직 중, 평안남도암행어사(平安南道暗行御史) 홍병철(洪秉喆)을 통해 고을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한 사실이 드러나게 되어 탄핵을 당하였다. 1812년(순조 12) 영의정(領議政) 김재찬(金載瓚)의 건의에 따라 복직되었다. 이후 익산군수(益山郡守)에 임명되었지만, 전라도암행어사(全羅道暗行御史) 홍대호(洪大浩)를 통해 재차 고을을 잘못 다스린 점이 드러나게 되어 파직되었다. 1818년(순조 18) 우의정(右議政) 남공철(南公轍)이 그의 선조인 이여송의 공적을 거론하면서 재차 복직시킬 것을 청원하여 등용되었다. 1846년(헌종 12)에는 전라우도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에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純祖實錄
崇禎三庚申慶科庭試別試文武科殿試榜目
正祖實錄
憲宗實錄
崇禎三庚申慶科庭試別試文武科殿試榜目
正祖實錄
憲宗實錄
[집필자]
정병섭
| 수정일 | 수정내역 |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 2013-08-06 | 『숭정3경신경과정시별시문무과전시방목(崇禎三庚申慶科庭試別試文武科殿試榜目)』(국립중앙도서관[일산古6024-6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본관을 "능주(綾州)"에서 "농서(隴西)"로 수정하였습니다.[수정자:이재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