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능필(沈能弼)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2ECB2A5D544B1750X0 |
생년 | 1750(영조 26) |
졸년 | 1811(순조 11)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청송(靑松)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심이지(沈履之) |

[상세내용]
심능필(沈能弼)
1750년(영조 26)~1811년(순조 11).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이다.
부친은 가선대부(嘉善大夫) 행용양위부사직(行龍驤衛副司直) 심이지(沈履之)이다. 4남 중 3남으로 태어났고, 형은 심능협(沈能恊)‧심능익(沈能翼)이고, 동생은 심능철(沈能喆)이다. 처부는 홍인한(洪麟漢)이다.
1775년(영조 51) 명절에 시행했던 삼일제(三日製)에서 수석으로 문과 급제하였고,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후보자를 대상으로 치른 특별 시험에 합격하기도 하였다. 1799년(정조 23) 김관주(金觀柱)‧민양현(閔養顯) 등과 더불어 품계가 오르면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제수되었다. 이에 대하여 이정운(李貞運)과 윤익렬(尹益烈)이 『명의록(明義錄)』의 내용을 근거로 반대 상소를 올렸으나 왕이 허락하지 않았고, 오히려 다음 날 김해부사(金海府使)로 임명하였다.
부친은 가선대부(嘉善大夫) 행용양위부사직(行龍驤衛副司直) 심이지(沈履之)이다. 4남 중 3남으로 태어났고, 형은 심능협(沈能恊)‧심능익(沈能翼)이고, 동생은 심능철(沈能喆)이다. 처부는 홍인한(洪麟漢)이다.
1775년(영조 51) 명절에 시행했던 삼일제(三日製)에서 수석으로 문과 급제하였고,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후보자를 대상으로 치른 특별 시험에 합격하기도 하였다. 1799년(정조 23) 김관주(金觀柱)‧민양현(閔養顯) 등과 더불어 품계가 오르면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제수되었다. 이에 대하여 이정운(李貞運)과 윤익렬(尹益烈)이 『명의록(明義錄)』의 내용을 근거로 반대 상소를 올렸으나 왕이 허락하지 않았고, 오히려 다음 날 김해부사(金海府使)로 임명하였다.
[참고문헌]
國朝榜目英祖實錄
正祖實錄
正祖實錄
[집필자]
유치석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