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흥유(韓興裕)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D55CD765C720B1749X0 |
자(字) | 사흥(士興) |
생년 | 1749(영조 25)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청주(淸州) |
활동분야 | 문신 |

부 | 한광태(韓光泰) |
생부 | 한광정(韓光鼎) |

[관련정보]
[상세내용]
한흥유(韓興裕)
1749년(영조 2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여수(汝秀)‧사흥(士興)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증조부는 한배휴(韓配休)이고, 조부는 한사익(韓師益)이다. 부친은 한광태(韓光泰)이고, 생부는 한광정(韓光鼎)이다. 외조부는 이인배(李仁培)이다. 형은 한상유(韓尙裕)이다.
1780년(정조 4) 식년시 진사 3등 5위로 입격하였고, 1784년(정조 8) 정시 병과 9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1784년(정조 8) 9월 춘당대(春塘臺)에서 치러진 구일제(九日製)의 대륜차(大輪次)에서 표(表)로 수석을 차지하여 직부전시(直赴殿試) 되었다. 같은 해 11월 의정부(議政府)에서 선출하는 강제문신(講製文臣)에 뽑혔다. 1791년(정조 15) 장령(掌令)으로 재직하며 언로(言路)를 열 것과 서양학[洋學]의 변고를 논하였다. 1792년(정조 16) 홍문록(弘文錄)에 선발되었고, 1798년(정조 22)에는 도당록(都堂錄)에 뽑혔다. 1801년(순조 1) 홍문관(弘文館)에서 홍국영(洪國榮)과 정민시(鄭民始)의 가족에게까지 연좌하여 노비로 만들고 재산을 몰수해야 한다고 합계(合啓)할 때 교리(校理)로서 참여하였다. 또한, 삼사(三司)에서 은언군(恩彦君) 부자와 홍낙임(洪樂任)에 대한 처벌을 바르게 해야 한다고 합사(合辭)할 때에도 참여하였다. 그해 10월에 국문하는 자리에 불참한 죄로 경상북도 순안현(順安縣)에 유배되었다. 1804년(순조 4)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으로 양사의 합계에 참여하여 권유(權裕)‧심노현(沈魯賢)‧정재민(鄭在民)에게 노적법(孥籍法)을 시행하고, 홍이유(洪履猷)의 자식들은 여러 곳으로 나누어 유배 보내고, 홍재민(洪在敏)은 국문(鞠問)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05년(순조 5)에 대왕대비 빈전에 책보를 올리고 옥책문을 가상할 때 상호도감(上號都監)의 도청(都廳)으로 참여하여 통정대부(通政大夫)에 가자되었다. 1814년(순조 14)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에 제수되었다.
증조부는 한배휴(韓配休)이고, 조부는 한사익(韓師益)이다. 부친은 한광태(韓光泰)이고, 생부는 한광정(韓光鼎)이다. 외조부는 이인배(李仁培)이다. 형은 한상유(韓尙裕)이다.
1780년(정조 4) 식년시 진사 3등 5위로 입격하였고, 1784년(정조 8) 정시 병과 9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1784년(정조 8) 9월 춘당대(春塘臺)에서 치러진 구일제(九日製)의 대륜차(大輪次)에서 표(表)로 수석을 차지하여 직부전시(直赴殿試) 되었다. 같은 해 11월 의정부(議政府)에서 선출하는 강제문신(講製文臣)에 뽑혔다. 1791년(정조 15) 장령(掌令)으로 재직하며 언로(言路)를 열 것과 서양학[洋學]의 변고를 논하였다. 1792년(정조 16) 홍문록(弘文錄)에 선발되었고, 1798년(정조 22)에는 도당록(都堂錄)에 뽑혔다. 1801년(순조 1) 홍문관(弘文館)에서 홍국영(洪國榮)과 정민시(鄭民始)의 가족에게까지 연좌하여 노비로 만들고 재산을 몰수해야 한다고 합계(合啓)할 때 교리(校理)로서 참여하였다. 또한, 삼사(三司)에서 은언군(恩彦君) 부자와 홍낙임(洪樂任)에 대한 처벌을 바르게 해야 한다고 합사(合辭)할 때에도 참여하였다. 그해 10월에 국문하는 자리에 불참한 죄로 경상북도 순안현(順安縣)에 유배되었다. 1804년(순조 4)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으로 양사의 합계에 참여하여 권유(權裕)‧심노현(沈魯賢)‧정재민(鄭在民)에게 노적법(孥籍法)을 시행하고, 홍이유(洪履猷)의 자식들은 여러 곳으로 나누어 유배 보내고, 홍재민(洪在敏)은 국문(鞠問)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05년(순조 5)에 대왕대비 빈전에 책보를 올리고 옥책문을 가상할 때 상호도감(上號都監)의 도청(都廳)으로 참여하여 통정대부(通政大夫)에 가자되었다. 1814년(순조 14)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에 제수되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
國朝榜目正祖實錄
純祖實錄
國朝榜目正祖實錄
純祖實錄
[집필자]
이동인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