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필(鄭東弼)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815B3D9D544B1740X0 |
자(字) | 계상(季祥) |
호(號) | 남와(南窩) |
생년 | 1740(영조 16) |
졸년 | 1820(순조 20)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영일(迎日) |
활동분야 | 학자 > 유생 |


[상세내용]
정동필(鄭東弼)
1740년(영조 16)∼1820년(순조 20). 조선 후기 유학자. 자는 계상(季祥)이고, 호는 남와(南窩)이다. 본관은 영일(迎日)이고, 출신지는 경상북도 경주(慶州) 하곡(霞谷: 현 안강읍(安康邑))이다.
부친은 정욱(鄭煜)이고, 형으로 정충필(鄭忠弼)이 있다.
어려서부터 타고난 자질이 총명하였으며, 최흥원(崔興遠)과 이상정(李象靖)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73년(영조 49) 증광시 생원 3등 65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아 관직에는 나아가지 않고 평생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문하에 판서(判書) 이의발(李義發) 같은 제자들을 배출하였다.
저서로 문집 3권과 『주서휘류(朱書彙類)』‧『정서류선(程書類選)』이 각 11권씩 전한다.
부친은 정욱(鄭煜)이고, 형으로 정충필(鄭忠弼)이 있다.
어려서부터 타고난 자질이 총명하였으며, 최흥원(崔興遠)과 이상정(李象靖)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73년(영조 49) 증광시 생원 3등 65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아 관직에는 나아가지 않고 평생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문하에 판서(判書) 이의발(李義發) 같은 제자들을 배출하였다.
저서로 문집 3권과 『주서휘류(朱書彙類)』‧『정서류선(程書類選)』이 각 11권씩 전한다.
[참고문헌]
[집필자]
유치석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