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심전(李心傳)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2ECC804B1634X0 |
자(字) | 여중(汝中) |
생년 | 1738(영조 14)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이성수(李性遂)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심전(李心傳)
1738년(영조 14)∼미상.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여중(汝中)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고조는 이중번(李重蕃)이고, 증조부는 이태즙(李泰楫)이며, 조부는 이언후(李彦垕)이다. 부친 통정대부(通政大夫)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 이성수(李性遂)와 모친 한계진(韓啓震)의 딸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이경전(李敬傳)이다.
1771년(영조 47) 식년시에서 생원에 합격하였고 1773년(영조 49) 정시에서 병과에 급제하였다.
정자(正字)로 재직 중 고령현감(高靈縣監) 김수묵(金守黙)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관직임명서를 몰수당하였다가, 1784년(정조 8)에 다시 환급을 받았다. 이후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다.
고조는 이중번(李重蕃)이고, 증조부는 이태즙(李泰楫)이며, 조부는 이언후(李彦垕)이다. 부친 통정대부(通政大夫)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 이성수(李性遂)와 모친 한계진(韓啓震)의 딸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이경전(李敬傳)이다.
1771년(영조 47) 식년시에서 생원에 합격하였고 1773년(영조 49) 정시에서 병과에 급제하였다.
정자(正字)로 재직 중 고령현감(高靈縣監) 김수묵(金守黙)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관직임명서를 몰수당하였다가, 1784년(정조 8)에 다시 환급을 받았다. 이후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집필자]
유치석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