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성정진(成鼎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31C815C9C4B1738X0
생년1738(영조 14)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창녕(昌寧)
활동분야문신
성규(成珪)

[상세내용]

성정진(成鼎鎭)
1738년(영조 14)~미상.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증조부는 성항(成伉)이고, 조부는 성윤장(成胤章)이며, 부친은 성규(成珪)이다.

1774년(영조 50) 병과 34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1777년(정조 1) 삼사 합계에 참여하여 부처(付處)한 죄인 한익모(韓翼謩)‧김상복(金相福)을 석방시키라는 명을 정지할 것을 청하였으나 윤허받지 못하였다. 1783년(정조 7) 정조를 음해하려 한 역적 홍술해(洪述海)의 노비를 돌봐주었다는 모함을 받아 사직을 요청하였으나 정조의 명으로 사직이 철회되었다. 1786년(정조 10)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으로서 상소하여 역참(驛站)의 폐단을 바로잡고, 구황(救荒)의 정사를 보완할 것과 역사(役事)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였다. 1792년(정조 16) 정조의 특별 지시로 홍문관응교(弘文館應敎)에 제수되었다. 이어 1797년(정조 21)에는 승지(承旨)에 임용되었고, 이어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에 임명되는 등 승진을 거듭하였다.

1797년(정조 21)에는 과장(科場)에서 시권(試券)을 일찍 올리는 폐단이 시험을 관장하는 자가 일찍 가져가기 때문이라며 이를 시정할 것을 권장하였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집필자]

나영훈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