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수(兪彦脩)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0C5B8C218B1725X0 |
자(字) | 덕이(德而) |
생년 | 1725(영조 1)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기계(杞溪)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유정기(兪炡基) |

[관련정보]
[상세내용]
유언수(兪彦脩)
1725년(영조 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자는 덕이(德而)이다. 본관은 기계(杞溪)이다.
증조부는 유직(兪㮨)이고, 조부는 유명연(兪命衍)이다. 부친 유정기(兪炡基)와 모친 이유재(李惟材)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유언위(兪彦偉)이다.
1756년(영조 32) 식년시에서 생원 2등 23위로 합격하였고, 1758년(영조 34) 관학도기유생(館學到記儒生)들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제술(製述) 분야의 수석을 차지하였다. 그 결과 전시(殿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았으며, 1759년(영조 35) 식년시 문과에서 병과 17위로 급제하였다. 이후 장령(掌令)‧헌납(獻納)‧집의(執義) 등을 역임하였다.
1780년(정조 4) 사간(司諫)으로 재직 중, 임금에게 상소를 올려 흉악한 인물들을 대간(臺諫)으로 추천한 자들에 대해 파직할 것을 청원하기도 하였다. 1798년(정조 22)에는 그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서,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다.
증조부는 유직(兪㮨)이고, 조부는 유명연(兪命衍)이다. 부친 유정기(兪炡基)와 모친 이유재(李惟材)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유언위(兪彦偉)이다.
1756년(영조 32) 식년시에서 생원 2등 23위로 합격하였고, 1758년(영조 34) 관학도기유생(館學到記儒生)들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제술(製述) 분야의 수석을 차지하였다. 그 결과 전시(殿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았으며, 1759년(영조 35) 식년시 문과에서 병과 17위로 급제하였다. 이후 장령(掌令)‧헌납(獻納)‧집의(執義) 등을 역임하였다.
1780년(정조 4) 사간(司諫)으로 재직 중, 임금에게 상소를 올려 흉악한 인물들을 대간(臺諫)으로 추천한 자들에 대해 파직할 것을 청원하기도 하였다. 1798년(정조 22)에는 그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서,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司馬榜目
英祖實錄
正祖實錄
司馬榜目
英祖實錄
正祖實錄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