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광례(尹光禮)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4AD11B840B1724X0 |
자(字) | 형초(亨初) |
생년 | 1724(경종 4) |
졸년 | 1775(영조 51)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파평(坡平) |
활동분야 | 관료 |

부 | 윤동두(尹東斗) |
조부 | 윤효교(尹孝敎) |
증조부 | 윤섬(尹掞) |
처부 | 남성하(南聖夏) |
외조부 | 정동선(鄭同先) |

[상세내용]
윤광례(尹光禮)
1724년(경종 4)∼1775년(영조 51).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형초(亨初).
증조부는 윤섬(尹掞), 조부는 윤효교(尹孝敎), 부친은 윤동두(尹東斗)이고, 외조부는 정동선(鄭同先)이며, 처부는 남성하(南聖夏)이다. 1763년(영조 39) 계미(癸未)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3위로 급제했다. 관직은 한림(翰林)을 거쳐 집의(執義)에 이르렀다. 성품이 간항하여 작은 절개에 구애받지 않았고, 술을 좋아하고 영리에 어두웠으며, 세속의 이익을 좇는 자를 보면 침을 뱉고 싶어 하였다. 1766년(영조 42) 영조(英祖)가 지나치게 관계(官階)를 함부로 자급해주는 것을 보고 상소를 올렸다가 흑산도(黑山島)로 귀양갔다.
증조부는 윤섬(尹掞), 조부는 윤효교(尹孝敎), 부친은 윤동두(尹東斗)이고, 외조부는 정동선(鄭同先)이며, 처부는 남성하(南聖夏)이다. 1763년(영조 39) 계미(癸未)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3위로 급제했다. 관직은 한림(翰林)을 거쳐 집의(執義)에 이르렀다. 성품이 간항하여 작은 절개에 구애받지 않았고, 술을 좋아하고 영리에 어두웠으며, 세속의 이익을 좇는 자를 보면 침을 뱉고 싶어 하였다. 1766년(영조 42) 영조(英祖)가 지나치게 관계(官階)를 함부로 자급해주는 것을 보고 상소를 올렸다가 흑산도(黑山島)로 귀양갔다.
[참고문헌]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朝鮮人名辭書
朝鮮王朝實錄
朝鮮人名辭書
朝鮮王朝實錄
[집필자]
박경이
대표명 | 윤광례(尹光禮) |
성명 | 윤광례(尹光禮) |
성명 : "윤광례(尹光禮)"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