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중해(李重海)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911D574B1717X0
자(字)윤보(潤甫)
생년1717(숙종 43)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이현상(李鉉相)

[상세내용]

이중해(李重海)
1717년(숙종 43)~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윤보(潤甫)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증조부는 이행성(李行成)이고, 조부는 이시형(李時亨)이며, 부친은 이현상(李鉉相)이다. 외조부는 유시모(柳時模)이고, 처부는 홍계오(洪啓五)이다. 형은 이운해(李運海)이다.

1746년(영조 22) 알성시에 을과 1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정언(正言)‧지평(持平)‧장령(掌令) 등을 역임하였다.

정희량(鄭希亮)과 이웅보(李熊輔) 등이 일으킨 반란에 임해 진주성(晉州城) 성문을 걸어 잠그고 응전하지 않았던 경상우도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 이시번(李時蕃)이 역적을 도운 죄로 군졸(軍卒)로 전락한 전례가 있었는데, 이시번의 친척이라는 이유로 이중해(李重海)의 관로가 막히게 되었다. 1752년(영조 28)에는 대망(臺望)에 이름이 오른 형 이운해 또한 사간(司諫) 박치문(朴致文)의 반대로 말미암아 출사를 저지당하는 등 이시번의 일로 인해 형제 모두 출사길이 막히고 말았다. 이후 서용되어 출사하였는데, 1762년(영조 38) 정언으로 재임 중 직급 남용으로 물의를 일으킨 조재호(趙載浩)의 처벌 논의가 있었을 때, 외방에 있다는 이유로 함께 동참하지 않았다가 파직되었다. 그 후 다시 서용된 후 1771년(영조 47)까지 꾸준히 관직생활을 이어나갔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英祖實錄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