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인묵(李仁黙)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778BB35B1709X0
자(字)유성(幼成)
생년1709(숙종 35)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의(全義)
활동분야문신
이광익(李光益)

[상세내용]

이인묵(李仁黙)
1709년(숙종 35)~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유성(幼成)이다.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거주지는 송화(松禾)이다.

증조부는 이석형(李碩馨)이고, 조부는 이잠(李岑)이며, 부친은 생원(生員) 이광익(李光益)이다. 외조부는 최세두(崔世斗)이고, 처부는 박재발(朴載發)이다. 동생은 이인점(李仁點)이다.

1741년(영조 17) 식년시에 진사 2등 19위로 합격하였고, 같은 해 식년시에 응시하여 갑과 3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중추부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역임하였다.

1772년(영조 48)에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으로 재임하던 중 대신(大臣)이었던 선혜청낭청(宣惠廳郎廳) 송익수(宋翼洙)가 사인(舍人)의 자리에 앉는 것이 부당하다고 상소하였으나, 임금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1783년(정조 7)에는 정조가 흉년이 들어 굶어 죽는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한 방법을 기록한 『자휼전칙(字恤典則)』을 하사하였다.

[참고문헌]


[집필자]

유치석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