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인겸(金仁謙){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778ACB8B1707X0
자(字)사안(士安)
호(號)퇴석(退石)
생년1707(숙종 33)
졸년1772(영조 48)
시대조선후기
본관안동(安東[新])
활동분야문학 > 문인
김창복(金昌復)
인동장씨(仁同張氏)
조부김수능(金壽能)
외조부장서주(張瑞周)
저술『동사록(東槎錄)』

[상세내용]

김인겸(金仁謙)
1707년(숙종 33)∼1772년(영조 48). 조선시대의 문인. 본관은 안동(安東[新]). 자는 사안(士安), 호는 퇴석(退石). 김상헌(金尙憲)의 현손, 부친은 통덕랑(通德郞) 김창복(金昌復), 모친은 인동장씨(仁同張氏) 장서주(張瑞周)의 딸이다.

문벌이 혁혁한 집안에 태어났지만 그의 할아버지인 김수능(金壽能)은 서출이라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감에 그쳤다.

14세 때에 아버지를 사별하고, 가난에 시달려 학문에 전념하지 못하다가 47세 때인 1753년(영조 29)에야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57세 때인 1763년에는 통신사행(通信使行)의 종사관김상익(金相翊)서기(書記)로 뽑혀 통신사 조엄(趙曮)과 함께 일본에 다녀왔다.

1764년 일본에 다녀온 기행사실을 가사형식으로 「일동장유가」를 지었다.

그뒤 지평현감(砥平縣監) 등의 벼슬을 지냈다.

저술로는 역시 일본기행을 한문으로 지은 『동사록(東槎錄)』이 있다.

[참고문헌]

海槎日記
韓國紀行文學硏究(崔康賢, 一志社, 1982)
日東壯遊歌의 作者 및 背景硏究(金南秀, 建國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1975)
日東壯遊歌硏究(金國昭, 明知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1975)
日東壯遊歌硏究(金成大, 延世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1977)

[집필자]

최강현(崔康賢)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