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언(朴泰彦)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15D0DCC5B8B1700X0 |
자(字) | 대래(大來) |
호(號) | 영귀정(詠歸亭) |
생년 | 1700(숙종 26) |
졸년 | 1777(정조 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밀양(密陽) |
활동분야 | 문신 |

부 | 박취장(朴就章) |

[상세내용]
박태언(朴泰彦)
1700년(숙종 26)~1777년(정조 1). 조선 중기 문신. 자는 대래(大來)이고, 호는 영귀정(詠歸亭)이다.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경상도 진주 남면(현 고성군 영오면 영대리 옥동) 출신이다.
증조부는 박홍록(朴弘祿)이고, 조부는 박륜(朴綸)이며, 부친은 박취장(朴就章)이다. 외조부는 강대주(姜大周)이고, 처부는 이재룡(李再龍)이다.
1744년(영조 20) 갑자 식년시(式年試) 문과에 급제하였다.
1760년(영조 36) 전적(典籍), 1762년 예조좌랑, 병조좌랑 겸 춘추관기주관, 1765년(영조 41) 삼례찰방(三禮察訪)을 지냈다.
1762년(영조 38) 사도세자의 발인에 섭상례(攝相禮)를 맡았다.
1764년(영조 40)에는 영조가 여러 능을 전알하고 돌아가는 길에 세손[정조(正祖)]이 왕을 맞이하자 여러 신하들이 축하할 때 『어제영은경희록』에 경하하는 시를 남겼다.
증조부는 박홍록(朴弘祿)이고, 조부는 박륜(朴綸)이며, 부친은 박취장(朴就章)이다. 외조부는 강대주(姜大周)이고, 처부는 이재룡(李再龍)이다.
1744년(영조 20) 갑자 식년시(式年試) 문과에 급제하였다.
1760년(영조 36) 전적(典籍), 1762년 예조좌랑, 병조좌랑 겸 춘추관기주관, 1765년(영조 41) 삼례찰방(三禮察訪)을 지냈다.
1762년(영조 38) 사도세자의 발인에 섭상례(攝相禮)를 맡았다.
1764년(영조 40)에는 영조가 여러 능을 전알하고 돌아가는 길에 세손[정조(正祖)]이 왕을 맞이하자 여러 신하들이 축하할 때 『어제영은경희록』에 경하하는 시를 남겼다.
[참고문헌]
[집필자]
박정주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