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덕(李壽德)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218B355B1696X0 |
자(字) | 득보(得甫) |
생년 | 1696(숙종 22) |
졸년 | 1764(영조 40)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함평(咸平)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수덕(李壽德)
1696년(숙종 22)∼1764년(영조 40). 조선 중기 문신. 자는 득보(得甫)이다. 본관은 함평(咸平)이다.
이홍원(李弘元)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이준길(李浚吉)이고, 조부는 이정(李楨)이다. 부친 이경필(李景弼)과 모친 엄집(嚴䌖)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박계동(朴啓東)이다.
1733년(영조 9)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1744년(영조 20) 지평을 거쳐 정언이 되었다. 왕의 부름을 어긴 죄로 1752년(영조 28) 경상도에서 유배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귀양지에서의 경험을 상기하여 주사군(舟師軍)의 요포(料布)를 규례에 준하여 지급할 것을 주장하였다. 1762년(영조 38) 승지 재직 시절 병조낭관(兵曺郎官) 남용현(南龍見)과 칙사 수행인 문제로 논쟁을 벌였다가 관직을 박탈당하였다.
이홍원(李弘元)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이준길(李浚吉)이고, 조부는 이정(李楨)이다. 부친 이경필(李景弼)과 모친 엄집(嚴䌖)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박계동(朴啓東)이다.
1733년(영조 9)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1744년(영조 20) 지평을 거쳐 정언이 되었다. 왕의 부름을 어긴 죄로 1752년(영조 28) 경상도에서 유배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귀양지에서의 경험을 상기하여 주사군(舟師軍)의 요포(料布)를 규례에 준하여 지급할 것을 주장하였다. 1762년(영조 38) 승지 재직 시절 병조낭관(兵曺郎官) 남용현(南龍見)과 칙사 수행인 문제로 논쟁을 벌였다가 관직을 박탈당하였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黨議通略
國朝榜目
黨議通略
[집필자]
김성욱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