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변시중(邊是重)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C0C2DCC911B1694X0
자(字)중여(重汝)
생년1694(숙종 20)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원주(原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변희로(邊希蘆)
남평문씨(南平文氏)
조부변흥명(邊興溟)
증조부변득강(邊得綱)
강씨(姜氏)
처부강시제(姜始齊)
외조부문득립(文得立)
출생지제주도 애월읍(涯月邑) 납읍리(納邑里)

[상세내용]

변시중(邊是重)
1694년(숙종 20)∼미상. 조선 중기 문신‧교육자. 자는 중여(重汝)이다. 본관은 원주(原州)이며, 제주도 애월읍(涯月邑) 납읍리(納邑里)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변득강(邊得綱), 조부는 변흥명(邊興溟)이고, 부친 변희로(邊希蘆)와 모친 남평문씨(南平文氏) 사이에서 3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부인은 강시제(姜始齊)의 딸 강씨(姜氏)이다. 외조부는 문득립(文得立)이고, 형 변시익(裵是翼)변시한(裵是翰)이 있다.

1727년(영조 3) 4월에는 제주어사(濟州御使) 김상석(金相奭)제주로 시취(試取)하기 위해 왔을 때 시제(試題) ‘해불양파삼년부(海不揚波三年賦)’로 혼자 합격하였다. 그런 그에게 영조예조(禮曹)에 명하여 초시(初試)와 복시(覆試)를 치루지 않고 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수 있는 직부전시(直赴殿試)의 특전을 베풀도록 명하였다. 다음 해에 35세의 나이로 1728년(영조 4) 무신(戊申) 별시(別試) 병과(丙科) 8위로 급제하였다.

1741년(영조 17) 8월에 전라북도 흥덕현감(興德縣監)에 제수(除授)되고 다음 해 6월까지 현감(縣監)을 수행하였다. 말년에는 제주도내의 귤림서원(橘林書院)의 훈장이 되어 후진 양성에 힘을 썼다. 또 그의 문하생인 이희경(李希慶)과 함께 『귤림서원록(橘林書院錄)』을 수찬하는 등 제주의 교육 발전과 문학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크다.『탐라인물고(耽羅人物考)』에는 그에 대해서 성품은 거칠었으며, 관리로서 일처리는 능숙하지 않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는 재임 중 매우 청렴하게 관직에 임했으나, 고을을 제대로 다스리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朝鮮王朝實錄
제주도지
증보탐라지
제주사인명사전(김찬흡, 제주문화원, 2002)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http://jeju.grandculture.net/)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수정내역
2009-09-30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