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식(李光湜)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AD11C2DDB1690X0 |
자(字) | 원백(源伯) |
생년 | 1690(숙종 16)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평창(平昌)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이광식(李光湜)
1690년(숙종 16)∼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원백(源伯)이다. 본관은 평창(平昌)이다.
증조부는 이창환(李昌煥)이고, 조부는 이경(李坰)이다. 부친 좌랑 이태석(李泰錫)과 모친 윤해수(尹海壽)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17년(숙종 43)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관직은 중앙에서 참하관을 지냈으며, 온양군수로 재직하던 시절 촌가를 헐어 친구를 도와준 죄로 파직되었다. 1733년(영조 9) 장령에 제수되었고, 1734년(영조 10) 정언으로서 이조판서 김취로(金取魯)의 잘잘못을 따져 배척하였다. 1745년(영조 21) 익산군수 김필우(金必祐) 등을 탄핵하면서 죄질이 무거운 이덕제(李德濟)와 윤광주(尹光周)를 제외하였다는 이유로 유배되었다가 1746년(영조 22) 복직되었다.
증조부는 이창환(李昌煥)이고, 조부는 이경(李坰)이다. 부친 좌랑 이태석(李泰錫)과 모친 윤해수(尹海壽)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17년(숙종 43)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관직은 중앙에서 참하관을 지냈으며, 온양군수로 재직하던 시절 촌가를 헐어 친구를 도와준 죄로 파직되었다. 1733년(영조 9) 장령에 제수되었고, 1734년(영조 10) 정언으로서 이조판서 김취로(金取魯)의 잘잘못을 따져 배척하였다. 1745년(영조 21) 익산군수 김필우(金必祐) 등을 탄핵하면서 죄질이 무거운 이덕제(李德濟)와 윤광주(尹光周)를 제외하였다는 이유로 유배되었다가 1746년(영조 22) 복직되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國朝榜目
[집필자]
김성욱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