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제암(李齊嵒)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81CC554B1690X0
자(字)계첨(季瞻)
호(號)간정(磵亭)
생년1690(숙종 16)
졸년1778(정조 2)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천령(李千齡)
저서『간정유고(磵亭遺稿)』

[상세내용]

이제암(李齊嵒)
1690년(숙종 16)∼1778년(정조 2).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계첨(季瞻), 호는 간정(磵亭).

부친은 이천령(李千齡)이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글을 한 번 보면 바로 외웠다. 37세 때인 1726년(영조 2)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 11위로 합격하였고, 51세 때인 1740년(영조 16) 경신(庚申)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6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관직은 우윤(右尹)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으며, 기사(耆社)에 들었다. 나이가 들어 향리로 돌아가 계곡에 작은 집을 짓고 정자를 임간(臨磵), 당호를 만휴(晩休)라고 불렀다. 옛사람들의 서간(書簡)과 화필(畵筆)을 보기를 좋아하여 항상 궤안(几案)에 두고 음미하며 만족하였다. 조선인명사서(朝鮮人名辭書)의 기록에는, 저서로 『간정유고(磵亭遺稿)』가 있다고 하였으나 저서의 유무를 확인할 수 없다.

[참고문헌]

朝鮮人名辭書
國朝文科榜目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집필자]

박연희
수정일수정내역
2008-12-31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