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명회(李明會)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A85D68CB1685X0
자(字)제숙(際叔)
생년1685(숙종 11)
졸년1727(영조 3)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이세기(李世祺)
생부이세정(李世禎)

[상세내용]

이명회(李明會)
1685년(숙종 11)∼1727년(영조 3).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제숙(際叔)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조부는 이홍달(李弘達)이고, 부친은 조산대부(朝散大夫) 행선릉참봉(行宣陵參奉) 이세기(李世祺)이다. 생부 통훈대부(通訓大夫) 전행사재감직장(前行司宰監直長) 이세정(李世禎)과 모친 부제학(副提學) 심유(沈攸)의 딸 청송심씨(淸松沈氏) 사이에서 5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이명좌(李明佐)이고, 동생은 이명진(李明晉)‧이명협(李明協)‧이명익(李明翼)이다. 그 외 서제(庶弟) 이명징(李明徵)‧이명저(李明著)가 있다. 부인은 첨추(僉樞) 신백수(申栢壽)의 딸 평산신씨(平山申氏)이다.

1715년(숙종 41) 식년시에서 진사에 합격하였다.

1718년(숙종 44) 당시 정릉참봉(貞陵參奉)에 재직 중이었으나, 사헌부(司憲府)에서 이명회(李明會)의 부친이 과옥(科獄)을 범하였으므로, 그를 파면해야 한다고 청을 올렸고, 이에 파면을 당하였다.

1722년(경종 2)에 사헌부와 사간원(司諫院)에서 탄핵을 하며, 그가 역적인 이명좌와 이명익의 형제이자 이홍술(李弘述)의 종손(從孫)이 되고, 역적 무리들과 자주 어울렸는데도 유일하게 그만이 법망에서 빠졌으므로 유배를 보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일을 계기로 부안현(扶安縣) 위도(蝟島)로 유배되었다.

1725년(영조 1)에 신임사화 때 연루되었던 자들이 무고하다는 사실이 드러나서, 그 또한 유배지에서 풀려났으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사손(嗣孫)이 되어 제사를 받들도록 하였고, 돈녕도정(敦寧都正)에 제수되었다.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형종(李亨宗)이다. 그 외 후실에게서 2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형록(李亨祿)‧이형복(李亨福)이다.

[참고문헌]

CD-ROM 사마방목(司馬榜目)
조선왕조실록(숙종, 경종, 영조)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