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교(尹明敎)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4BA85AD50B1651X0 |
자(字) | 관일(貫一) |
생년 | 1651(효종 2) |
졸년 | 1697(숙종 23)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파평(坡平) |
활동분야 | 학생 > 유생 |


[관련정보]
[상세내용]
윤명교(尹明敎)
1651년(효종 2)∼1697년(숙종 23). 조선 중기 유생. 자는 관일(貫一)이다.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거주지는 충청남도 이산(尼山: 현 논산군(論山郡))이다.
대사성(大司成) 윤탁(尹倬)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대사간(大司諫) 증영의정(贈領議政) 문정공(文正公) 윤황(尹煌)이고, 조부는 고산현감(高山縣監) 증좌승지(贈左承旨) 윤훈거(尹勛擧)이다. 부친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사헌부집의(行司憲府執義) 증이조참판(贈吏曹參判) 윤변(尹抃)과 부친의 셋째 부인 황덕함(黃德涵)의 딸 회덕황씨(懷德黃氏) 사이에서 3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윤경교(尹敬敎)‧윤성교(尹誠敎)가 있다.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이두장(李斗章)의 딸 한산이씨(韓山李氏)이고, 둘째 부인은 증참판 이교(李穚)의 딸 한산이씨이다.
효성이 지극하고 우애가 깊어 큰형이 눈병으로 사물을 거의 구분하지 못하자 곁에서 떠나지 않고 시중을 들어 사람들이 감탄하였다.
어려서부터 과거 공부에 힘써 문예가 출충하여 1683년(숙종 9) 증광시 생원 3등 17위로 합격하였으나 대과에는 뜻을 이루지 못하여 주변에서 안타까워하였다.
슬하에 4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윤동직(尹東稷)‧윤동와(尹東卨)‧윤동익(尹東益)‧윤동열(尹東說)이다.
묘는 충청남도 청양군(靑陽郡) 정산면(定山面) 칠갑산(七甲山)에 있다.
대사성(大司成) 윤탁(尹倬)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대사간(大司諫) 증영의정(贈領議政) 문정공(文正公) 윤황(尹煌)이고, 조부는 고산현감(高山縣監) 증좌승지(贈左承旨) 윤훈거(尹勛擧)이다. 부친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사헌부집의(行司憲府執義) 증이조참판(贈吏曹參判) 윤변(尹抃)과 부친의 셋째 부인 황덕함(黃德涵)의 딸 회덕황씨(懷德黃氏) 사이에서 3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윤경교(尹敬敎)‧윤성교(尹誠敎)가 있다.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이두장(李斗章)의 딸 한산이씨(韓山李氏)이고, 둘째 부인은 증참판 이교(李穚)의 딸 한산이씨이다.
효성이 지극하고 우애가 깊어 큰형이 눈병으로 사물을 거의 구분하지 못하자 곁에서 떠나지 않고 시중을 들어 사람들이 감탄하였다.
어려서부터 과거 공부에 힘써 문예가 출충하여 1683년(숙종 9) 증광시 생원 3등 17위로 합격하였으나 대과에는 뜻을 이루지 못하여 주변에서 안타까워하였다.
슬하에 4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윤동직(尹東稷)‧윤동와(尹東卨)‧윤동익(尹東益)‧윤동열(尹東說)이다.
묘는 충청남도 청양군(靑陽郡) 정산면(定山面) 칠갑산(七甲山)에 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素谷遺稿
素谷遺稿
[집필자]
이원배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