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립(柳英立)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0C601B9BDB1623X0 |
자(字) | 이수(爾粹) |
생년 | 1623(인조 1) |
졸년 | 1686(숙종 12)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관련정보]
[상세내용]
유영립(柳英立)
1623년(인조 1)∼1686년(숙종 12).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이수(爾粹)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증조부는 유형(柳炯)이고, 조부는 증사헌부지평(贈司憲府持平) 유란(柳瀾)이다. 부친 유인무(柳仁茂)와 모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안민헌(安民獻)의 딸 광주안씨(廣州安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7형제가 있는데, 맏형 상사공(上舍公) 유형립(柳亨立)‧둘째 형 지현공(知縣公) 유정립(柳貞立)‧세째 형 유성립(柳成立)‧네째 형 장령공(掌令公) 유경립(柳經立)과 동생 유행립(柳行立)‧유명립(柳明立)이 있다.
등이 있다. 부인은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나이준(羅以俊)의 딸 나주나씨(羅州羅氏)이다.
1651년(효종 2) 식년시 진사 1등 2위로 합격하고, 1663년(현종 4) 식년시 병과 12위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태학관박사(太學官博士)‧상의원주부(尙衣院主簿)‧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장흥고주부(長興庫主簿)‧병조정랑(兵曹正郞)‧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제용감정(濟用監正)‧봉상시정(奉常寺正)‧자인현감(慈仁縣監)‧부안현감(扶安縣監)‧부평현감(富平縣監)‧순천부목사(順天府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성격이 과묵하고 효성스럽고 우애가 있었으며, 부친이 살아있을 적에 제대로 모시지 못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였다. 자인현감으로 있을 때, 흥해현감(興海縣監)으로 있는 형 유경립과 왕래하며 봉양하였으나, 얼마 있다가 형이 근무지에서 죽자 관을 고향으로 옮기고 초상을 치르는 데 한이 없게 하였다. 순천부목사 재임 시절에 근무지에서 죽었다.
묘는 경상북도 순흥(順興)에 있다.
증조부는 유형(柳炯)이고, 조부는 증사헌부지평(贈司憲府持平) 유란(柳瀾)이다. 부친 유인무(柳仁茂)와 모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안민헌(安民獻)의 딸 광주안씨(廣州安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7형제가 있는데, 맏형 상사공(上舍公) 유형립(柳亨立)‧둘째 형 지현공(知縣公) 유정립(柳貞立)‧세째 형 유성립(柳成立)‧네째 형 장령공(掌令公) 유경립(柳經立)과 동생 유행립(柳行立)‧유명립(柳明立)이 있다.
등이 있다. 부인은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나이준(羅以俊)의 딸 나주나씨(羅州羅氏)이다.
1651년(효종 2) 식년시 진사 1등 2위로 합격하고, 1663년(현종 4) 식년시 병과 12위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태학관박사(太學官博士)‧상의원주부(尙衣院主簿)‧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장흥고주부(長興庫主簿)‧병조정랑(兵曹正郞)‧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제용감정(濟用監正)‧봉상시정(奉常寺正)‧자인현감(慈仁縣監)‧부안현감(扶安縣監)‧부평현감(富平縣監)‧순천부목사(順天府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성격이 과묵하고 효성스럽고 우애가 있었으며, 부친이 살아있을 적에 제대로 모시지 못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였다. 자인현감으로 있을 때, 흥해현감(興海縣監)으로 있는 형 유경립과 왕래하며 봉양하였으나, 얼마 있다가 형이 근무지에서 죽자 관을 고향으로 옮기고 초상을 치르는 데 한이 없게 하였다. 순천부목사 재임 시절에 근무지에서 죽었다.
묘는 경상북도 순흥(順興)에 있다.
[참고문헌]
訥隱集
[집필자]
박경이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