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호(李明怘)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BA85D638B1565X0 |
자(字) | 양초(養初) |
호(號) | 매죽헌(梅竹軒) |
생년 | 1565(명종 20) |
졸년 | 1624(인조 2)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광평(廣平) |
활동분야 | 학자 > 유생 |


[상세내용]
이명호(李明怘)
1565년(명종 20)∼1624년(인조 2). 조선 중기 유학자. 자는 양초(養初)이고,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본관은 광평(廣平)이며, 출신지는 경상남도 함안군(咸安郡)이다.
이희광(李希廣)의 후손으로, 조부는 이사익(李士翊)이고, 부친은 이칭(李偁)이다. 외조부는 밀양박씨 박윤수(朴允秀)이고, 처부는 재령이씨 이희익(李喜益)과 동래정씨 정여강(鄭汝康)이다.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문장이 뛰어났으며, 경사자집(經史子集)을 탐독하여 주역(周易)‧예기(禮記)‧혼천의(渾天儀) 등에 두루 통달하였다. 조종도(趙宗道)와 학문의 대의(大義)를 논하며 교유하였다.
13세에 진주향시(晉州鄕試)에 장원으로 합격하였고, 1605년(선조 38) 증광시 진사 2등 17위로 합격하였다. 그러나 벼슬에는 뜻이 없어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평생 스스로 삼가며 학문에 정진하였고, 매죽헌(梅竹軒)이라는 정자를 짓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또 신산서원(新山書院)의 입규(立規)‧향학입규(鄕學立規)‧교중입규(校中立規) 등 ‘학교 17조’를 지어 교화(敎化)에 힘썼다.
저서로 『매죽헌선생문집(梅竹軒先生文集)』이 있다.
이희광(李希廣)의 후손으로, 조부는 이사익(李士翊)이고, 부친은 이칭(李偁)이다. 외조부는 밀양박씨 박윤수(朴允秀)이고, 처부는 재령이씨 이희익(李喜益)과 동래정씨 정여강(鄭汝康)이다.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문장이 뛰어났으며, 경사자집(經史子集)을 탐독하여 주역(周易)‧예기(禮記)‧혼천의(渾天儀) 등에 두루 통달하였다. 조종도(趙宗道)와 학문의 대의(大義)를 논하며 교유하였다.
13세에 진주향시(晉州鄕試)에 장원으로 합격하였고, 1605년(선조 38) 증광시 진사 2등 17위로 합격하였다. 그러나 벼슬에는 뜻이 없어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평생 스스로 삼가며 학문에 정진하였고, 매죽헌(梅竹軒)이라는 정자를 짓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또 신산서원(新山書院)의 입규(立規)‧향학입규(鄕學立規)‧교중입규(校中立規) 등 ‘학교 17조’를 지어 교화(敎化)에 힘썼다.
저서로 『매죽헌선생문집(梅竹軒先生文集)』이 있다.
[참고문헌]
司馬榜目
咸安誌
咸安誌
[집필자]
김경희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1-07-20 | 梅竹軒先生文集을 참고하여 본관을 성주(星州)에서 광평(廣平)으로 수정함. 부 이칭(李稱)을 이칭(李偁)으로 수정. 외조, 처부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