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종익(李宗翼)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885C775D1532X0
자(字)중공(仲供)
생년?(미상)
졸년1532(중종 27)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주(廣州)
활동분야유생
이퇴(李堆)

[상세내용]

이종익(李宗翼)
미상~1532년(중종 27). 조선 중기 유생. 자는 중공(仲供)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거주지는 한양이다.

부친은 용천군수(龍川郡守) 이퇴(李堆)이다.

1507년(중종 2) 증광시에 생원 2등 19위로 합격하였다. 1526년(중종 21) 전국에 전염병이 돌자 중종이 전국에 직언을 구하는 전교를 내렸을 때, 이종익(李宗翼)은 전후로 논박(論駁) 당한 사람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그들에게 관직을 제수하여 재앙을 막아야 한다고 극언하였다. 그런데 오히려 자신이 자기 직급을 넘어 분수에 넘친 상소를 하였다는 죄로 섬으로 귀양을 가게 되자 분노로 병이 들었다. 이에 다시 시사를 논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당시 재신들이 대간을 사주하여 죽일 것을 청하였다. 중종이 이종익의 처결에 대해 신하들에게 의견을 묻자, 정자(正字)인 동고(東皐) 이준경(李浚慶)과 참판인 눌헌(訥軒) 이사균(李思鈞)을 제외한 다른 신하들이 처벌하자는 의견을 주장함에 따라 1532년 결국 참수되었다. 명종조에 대사간으로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紀年便考

[집필자]

박경이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