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진한(權震翰)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D8CC9C4D55CB1615X0 |
자(字) | 구만(九萬) |
생년 | 1615(광해군 7)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안동(安東) |
활동분야 | 문신 |

부 | 권운서(權雲瑞) |

[상세내용]
권진한(權震翰)
1615년(광해군 7)~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구만(九萬)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증조부는 권국평(權國平)이고, 조부는 권치(權錙)이며, 부친은 권운서(權雲瑞)이다.
1663년(현종 4) 식년시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관직은 지평(持平)‧좌랑(佐郞)‧정언(正言) 등을 역임하였다.
1663년(현종 4) 지평 홍만용(洪萬容)으로부터 정인(正人)을 헐뜯는 의론에 빌붙어 선현을 모욕했다는 이유로 탄핵되어 파직당하였다가 재차 등용되었다. 1675년(숙종 1) 정언으로 재직할 때, 나적(羅積) 등이 정개청(鄭介淸)을 배향하는 서원을 복구해달라는 상소를 올리면서 연판(連判)할 때 서명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예조(禮曹)에서 파면을 요구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676년(숙종 2) 이옥(李沃)이 상소에서 삼사(三司)를 논척(論斥)한 것을 이유로 사직할 뜻을 전하고 물러났다.
증조부는 권국평(權國平)이고, 조부는 권치(權錙)이며, 부친은 권운서(權雲瑞)이다.
1663년(현종 4) 식년시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관직은 지평(持平)‧좌랑(佐郞)‧정언(正言) 등을 역임하였다.
1663년(현종 4) 지평 홍만용(洪萬容)으로부터 정인(正人)을 헐뜯는 의론에 빌붙어 선현을 모욕했다는 이유로 탄핵되어 파직당하였다가 재차 등용되었다. 1675년(숙종 1) 정언으로 재직할 때, 나적(羅積) 등이 정개청(鄭介淸)을 배향하는 서원을 복구해달라는 상소를 올리면서 연판(連判)할 때 서명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예조(禮曹)에서 파면을 요구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676년(숙종 2) 이옥(李沃)이 상소에서 삼사(三司)를 논척(論斥)한 것을 이유로 사직할 뜻을 전하고 물러났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顯宗實錄
肅宗實錄
顯宗實錄
肅宗實錄
[집필자]
김경희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