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악(李峻岳)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900C545B1610X0 |
자(字) | 여극(汝極) |
생년 | 1610(광해군 2) |
졸년 | 1687(숙종 13)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용인(龍仁)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이준악(李峻岳)
1610년(광해군 2)∼1687년(숙종 13). 조선 중기 문신‧유학자. 자는 여극(汝極)이다. 본관은 용인(龍仁)이다.
고조는 공조정랑(工曹正郞) 이신충(李藎忠)이고, 증조부는 생원 이계인(李啓仁)이며, 조부는 대사간(大司諫) 증이조판서(贈吏曹判書) 이사경(李士慶)이다. 부친 통훈대부(通訓大夫) 전목사(前牧使) 이후천(李後天)과 모친 좌찬성(左讚成) 이상의(李尙毅)의 딸 여주이씨(驪州李氏)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파주목사(坡州牧使) 증영의정(贈領議政) 이정악(李挺岳)이다. 부인은 부사(府使) 홍서(洪恕)의 딸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우애가 돈독하였다. 용모가 단정하고 위엄이 있었다.
1635년(인조 13) 증광시 생원 3등 45위로 합격하였다.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의 천거로 강릉참봉(康陵參奉)이 되었다. 이후 청하현감(淸河縣監)‧원주목사(原州牧使)‧나주목사(羅州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나주목사 시절 나주는 다스리기 힘든 고을로 이름이 높았으나 너그럽고 공평하게 다스리자 고을 백성들이 마음으로 존경하여 다스리기가 쉬워졌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된 어사(御使)가 말[馬]을 내려주었다. 세간에 후덕한 인물로 칭송이 자자하였다.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부정(副正) 이세형(李世亨)‧도사(都事) 이세정(李世貞)이다.
고조는 공조정랑(工曹正郞) 이신충(李藎忠)이고, 증조부는 생원 이계인(李啓仁)이며, 조부는 대사간(大司諫) 증이조판서(贈吏曹判書) 이사경(李士慶)이다. 부친 통훈대부(通訓大夫) 전목사(前牧使) 이후천(李後天)과 모친 좌찬성(左讚成) 이상의(李尙毅)의 딸 여주이씨(驪州李氏)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파주목사(坡州牧使) 증영의정(贈領議政) 이정악(李挺岳)이다. 부인은 부사(府使) 홍서(洪恕)의 딸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우애가 돈독하였다. 용모가 단정하고 위엄이 있었다.
1635년(인조 13) 증광시 생원 3등 45위로 합격하였다.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의 천거로 강릉참봉(康陵參奉)이 되었다. 이후 청하현감(淸河縣監)‧원주목사(原州牧使)‧나주목사(羅州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나주목사 시절 나주는 다스리기 힘든 고을로 이름이 높았으나 너그럽고 공평하게 다스리자 고을 백성들이 마음으로 존경하여 다스리기가 쉬워졌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된 어사(御使)가 말[馬]을 내려주었다. 세간에 후덕한 인물로 칭송이 자자하였다.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부정(副正) 이세형(李世亨)‧도사(都事) 이세정(李世貞)이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陶谷集
陶谷集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