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신징(都愼徵)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3C4C2E0C9D5B1604X0 |
자(字) | 휴숙(休叔) |
호(號) | 죽헌(竹軒) |
생년 | 1611(광해군 3) |
졸년 | 1678(숙종 4)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성주(星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도여유(都汝兪) |
조부 | 도원결(都元結) |
증조부 | 도흠조(都欽祖) |
외조부 | 이우겸(李友謙) |

[상세내용]
도신징(都愼徵)
1611년(광해군 3)∼1678년(숙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휴숙(休叔), 호는 죽헌(竹軒).
증조부는 도흠조(都欽祖)이고, 조부는 도원결(都元結)이며, 부친은 도여유(都汝兪)이다. 외조부는 여주이씨(驪州李氏) 이우겸(李友謙)이다.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예제(禮制)에 밝았다.
1674년(현종 15)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상에 자의대비(慈懿大妃)가 입어야 할 상복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어나 대공복(大功服)을 입어야 한다는 쪽으로 기울어지자, 유생의 신분으로 소(疏)를 올려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함으로써, 김수흥(金壽興) 등 서인 일파를 축출하게 하였다.
뒤에 남인의 천거로 1675년(숙종 1) 강릉참봉이 되고, 이어 주부를 거쳐 용궁현감(龍宮縣監)으로 나가 치적을 올림으로써 통훈대부의 품계에 올랐다.
증조부는 도흠조(都欽祖)이고, 조부는 도원결(都元結)이며, 부친은 도여유(都汝兪)이다. 외조부는 여주이씨(驪州李氏) 이우겸(李友謙)이다.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예제(禮制)에 밝았다.
1674년(현종 15)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상에 자의대비(慈懿大妃)가 입어야 할 상복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어나 대공복(大功服)을 입어야 한다는 쪽으로 기울어지자, 유생의 신분으로 소(疏)를 올려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함으로써, 김수흥(金壽興) 등 서인 일파를 축출하게 하였다.
뒤에 남인의 천거로 1675년(숙종 1) 강릉참봉이 되고, 이어 주부를 거쳐 용궁현감(龍宮縣監)으로 나가 치적을 올림으로써 통훈대부의 품계에 올랐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燃藜室記述
嶺南人物考
肅宗實錄
燃藜室記述
嶺南人物考
[집필자]
오성(吳星)
명 : "신징(愼徵)"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1-08-31 | 죽헌선생행장을 참고하여 생년을 갑진(1604)에서 신해(1611)로 수정함. 조부, 증조부, 외조부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