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엽(金燁)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40C5FDFFFFB1564X0
자(字)명보(明甫)
호(號)송암(松菴)
생년1586(선조 19)
졸년1637(인조 15)
시대조선중기
본관의성(義城)
활동분야무신 > 무신

[상세내용]

김엽(金燁)
1586년(선조 19)∼1637년(인조 15). 조선 중기 무신‧의병. 자는 명보(明甫)이고, 호는 송암(松菴)이다. 본관은 의성(義城)이고, 거주지는 경상북도 의성군(義城郡) 봉양면(鳳陽面)이다.

조부는 김천상(金天祥)이고, 부친 김진고(金振古)의 4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김욱(金煜)‧김찬(金燦)‧김환(金煥)이 있다.

어려서부터 군사의 진영을 만들며 놀 정도로 무예에 관심이 많았고, 말 타기와 활쏘기를 잘하였으며, 문장 또한 뛰어났다.

1620년(광해군 12) 동생 김욱‧김찬과 함께 무과에 급제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났을 때 의병장 호계(虎溪) 신적도(申適道)를 따라 의병을 일으켜 경상북도 문경(聞慶)의 조령(鳥嶺)에 이르렀으나, 이미 조정이 청나라와 화친했다는 소식에 의병을 해산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에는 두 동생 김욱과 김찬에게, 비록 집안에 연로한 부친이 계시나 막내 동생 김환이 있으니 걱정 없이 나라를 위해 싸워야 한다고 하며, 의병을 일으켰다. 경기도 광주(廣州) 쌍령(雙嶺)으로 달려가 미쳐 진영도 꾸리기 전에 청나라 군대가 들이닥쳐 싸우게 되었음에도 흔들리지 않고 나아가 싸우며 전과를 올렸으나, 이듬해인 1637년(인조 15) 1월 두 동생과 함께 청나라 군대에 굽히지 않고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그의 마졸(馬卒) 막생이 도망쳐 와서 전하자 조정에서 1637년에 두 동생에게는 주부(主簿)를 추증하였으며, 그에게는 선무랑사도시주부(宣務郞司導寺主簿)를 추증하고 1638년(인조 16)에 다시 선략장군훈련원첨정(宣略將軍訓練院僉正)을 추증하였으며, 부친 김진고에게도 만포절제사(滿浦節制使)를 제수하였다.

묘는 의성군 봉양면 분토동에 있다.

[참고문헌]


[집필자]

박경이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