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안여눌(安汝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48C5ECB20CB1575X0
자(字)근숙(謹叔)
생년1575(선조 8)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순흥(順興)
활동분야무신
안등(安騰)

[상세내용]

안여눌(安汝訥)
1575년(선조 8)~미상. 조선 중기 무신. 자는 근숙(謹叔)이다.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부친은 장사랑(將士郞) 안등(安騰)이고, 형은 안여심(安汝諶)‧안여성(安汝誠)‧안여순(安汝諄)이다. 부인은 김옥지(金玉只)이다.

1601년(선조 34) 식년시 무과에 갑과 3위로 급제하였다.

1618년(광해군 10)에 평안도우후(平安道虞候)로서 창성(昌城)에 주둔하여 변방을 지켰고, 같은 해 청의 누르하치[努爾哈赤]가 명을 공격하자 명은 흠차경략요동등처군무병부좌시랑(欽差經略遼東等處軍務兵部左侍郞) 겸 도찰원우첨도어사(兼都察院右僉都御史) 양호(楊鎬)를 보내 원병을 요청하였는데, 이때 5도도원수(五道都元帥) 강홍립 휘하의 중군관(中軍官)으로서 출정하였다. 1619년(광해군 11) 강홍립의 원군은 대패하였고, 현장에서의 상황에 따라 향배를 정하라는 광해군의 밀명에 따라 청에 투항하였는데, 이때 안여눌(安汝訥)도 이일원(李一元)‧문희성(文希聖)‧박난영(朴蘭英)‧정응정(鄭應井)‧김원복(金元福)‧오신남(吳信男) 등과 함께 항복하였다. 항복한 장수 대부분은 달아나지 못하고 굶어죽거나 죽임을 당하였다고 한다. 같은 해 도승지 한찬남(韓纘男)이 안여눌의 처가 종 세은동(世隱同)과 간통하다 체포되어 포도청에 잡혀있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김옥지와 세은동을 국문할 것을 요청하였고, 이는 엄히 다스려졌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집필자]

손용석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