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신중(權信中)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D8CC2E0C911B1575X0 |
자(字) | 군집(君執) |
생년 | 1575(선조 8) |
졸년 | 1633(인조 1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안동(安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권신중(權信中)
1575년(선조 8)∼1633년(인조 11). 조선 중기 문신. 자는 군집(君執)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출신지는 서울이다.
조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권상(權常)이고, 부친 길창군(吉昌君) 권협(權悏)과 모친 정랑(正郞) 최말(崔沫)의 딸 최씨(崔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세종의 아들 광평대군(廣平大君)의 후손 사평(司評) 이정필(李廷弼)의 딸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
1605년(선조 38) 증광시 생원과 3등 45위로 합격한 후,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에 제수되었다. 1606년(선조 39) 의정부도사(議政府都事)에 임명되었다. 그 후 태복시주부(太僕寺主簿)‧형조좌랑(刑曹佐郞)‧강서현령(江西縣令)‧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창평현령(昌平縣令)‧김제군수(金堤郡守)‧여산군수(礪山郡守)‧단양군수(丹陽郡守)‧풍덕군수(豊德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만년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으나 병으로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장남이 길성군(吉城君)에 봉해지면서 좌찬성(左贊成)과 우의정(右議政)에 차례로 증직되고, 길흥군(吉興君)에 봉해졌다.
총명하며 풍채가 좋았으며, 말수가 적고 위엄을 갖추었다.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정선옹주(貞善翁主)와 혼인한 길성군 권대임(權大任)‧권대호(權大鳴)‧권대식(權大式)이다.
조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권상(權常)이고, 부친 길창군(吉昌君) 권협(權悏)과 모친 정랑(正郞) 최말(崔沫)의 딸 최씨(崔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세종의 아들 광평대군(廣平大君)의 후손 사평(司評) 이정필(李廷弼)의 딸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
1605년(선조 38) 증광시 생원과 3등 45위로 합격한 후,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에 제수되었다. 1606년(선조 39) 의정부도사(議政府都事)에 임명되었다. 그 후 태복시주부(太僕寺主簿)‧형조좌랑(刑曹佐郞)‧강서현령(江西縣令)‧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창평현령(昌平縣令)‧김제군수(金堤郡守)‧여산군수(礪山郡守)‧단양군수(丹陽郡守)‧풍덕군수(豊德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만년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으나 병으로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장남이 길성군(吉城君)에 봉해지면서 좌찬성(左贊成)과 우의정(右議政)에 차례로 증직되고, 길흥군(吉興君)에 봉해졌다.
총명하며 풍채가 좋았으며, 말수가 적고 위엄을 갖추었다.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정선옹주(貞善翁主)와 혼인한 길성군 권대임(權大任)‧권대호(權大鳴)‧권대식(權大式)이다.
[참고문헌]
[집필자]
고윤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