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경흥(郭慶興)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CFDACBDD765B1569X0 |
자(字) | 여긍(汝兢) |
호(號) | 구거당(九居堂) |
생년 | 1569(선조 2) |
졸년 | 1621(광해군 13)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현풍(玄風) |
활동분야 | 학자 > 유생 |

부 | 곽종길(郭宗吉) |
조부 | 곽헌(郭櫶) |
증조부 | 곽지원(郭之元) |
처부 | 이산악(李山岳) |
출생지 | 대구시(大邱市) 달성군(達成郡) 현풍면(玄風面) |
저서 | 『구거당문집(九居堂文集)』 |

[상세내용]
곽경흥(郭慶興)
1569년(선조 2)∼1621년(광해군 13) 10월 15일. 조선 중기 유학자‧의병. 자는 여긍(汝兢)이고, 호는 구거당(九居堂)이다. 본관은 현풍(玄風)이며, 지금의 대구시(大邱市) 달성군(達成郡) 현풍면(玄風面)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곽지원(郭之元)이고, 조부는 곽헌(郭櫶)이며, 부친은 곽종길(郭宗吉)이다. 처부는 광주이씨(廣州李氏) 이산악(李山岳)이다.
대암(大庵) 박성(朴惺)의 문학에서 수학하며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탐독하였다. 광해군(光海君) 2년(1610) 경술(庚戌)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 5위로 합격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웠다. 그러나 관찰사(觀察使) 김수(金晬)의 미움을 받고 고향으로 돌아와 학문에 몰두하였다. 이에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이 학행으로 초계군수(草溪郡守)에게 천거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21년(광해군 13) 10월 15일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저서는 『구거당문집(九居堂文集)』이 있다.
대암(大庵) 박성(朴惺)의 문학에서 수학하며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탐독하였다. 광해군(光海君) 2년(1610) 경술(庚戌)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 5위로 합격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웠다. 그러나 관찰사(觀察使) 김수(金晬)의 미움을 받고 고향으로 돌아와 학문에 몰두하였다. 이에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이 학행으로 초계군수(草溪郡守)에게 천거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21년(광해군 13) 10월 15일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저서는 『구거당문집(九居堂文集)』이 있다.
[참고문헌]
九居堂文集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jsp)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jsp)
[집필자]
박상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9-09-30 | 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