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柳斐)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C720BE44FFFFB1566X0 |
자(字) | 사화(士華) |
생년 | 1566(명종 21)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문화(文化) |
활동분야 | 무신 |

부 | 유희진(柳希津) |

[상세내용]
유비(柳斐)
1566년(명종 21)∼미상. 조선 중기 무신. 자는 사화(士華)이다. 본관은 문화(文化)(주1)
.
부친은 유희진(柳希津)이다.
1591년(선조 24) 별시 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02년(선조 35)에는 당시 형조좌랑(刑曹佐郞)을 역임하고 있었는데, 사간원(司諫院)에서 유비(柳斐)의 공적이 크지 않는데도 요직에 머물러 있다는 상소를 올려서, 관직에서 물러났다. 1604년(선조 37)에는 의주판관(義州判官)에 재직 중이었으나, 사간원에서 재차 상소를 올려, 그가 부임한 뒤에 관리로서 제대로 행동하지 못한다고 탄핵을 하여 파직되었다. 1606년(선조 39)에는 종성부사(鍾城府使)로 재직하며, 변란에 대비하기 위해 성곽과 각종 방어물을 견고하게 구축하였다. 1608년(선조 41)에는 영흥부사(永興府使)에 임명되었고, 1618년(광해군 10)에는 적군을 물리친 공적을 인정받아서, 정3품 이상의 품계를 받기도 하였다.
본관 |
鎭川宋氏大同譜를 참고하여 본관을 미상에서 문화(文化)로 수정함. 진천인 무과급제자 송극제(宋克悌)의 처부임. |
부친은 유희진(柳希津)이다.
1591년(선조 24) 별시 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02년(선조 35)에는 당시 형조좌랑(刑曹佐郞)을 역임하고 있었는데, 사간원(司諫院)에서 유비(柳斐)의 공적이 크지 않는데도 요직에 머물러 있다는 상소를 올려서, 관직에서 물러났다. 1604년(선조 37)에는 의주판관(義州判官)에 재직 중이었으나, 사간원에서 재차 상소를 올려, 그가 부임한 뒤에 관리로서 제대로 행동하지 못한다고 탄핵을 하여 파직되었다. 1606년(선조 39)에는 종성부사(鍾城府使)로 재직하며, 변란에 대비하기 위해 성곽과 각종 방어물을 견고하게 구축하였다. 1608년(선조 41)에는 영흥부사(永興府使)에 임명되었고, 1618년(광해군 10)에는 적군을 물리친 공적을 인정받아서, 정3품 이상의 품계를 받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신묘 별시 문무과 방목(辛卯別試文武科榜目)
신묘 별시 문무과 방목(辛卯別試文武科榜目)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