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성팽년(成彭年)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31D33DB144B1540X0
자(字)이옹(頤翁)
호(號)석곡(石谷)
생년1540(중종 35)
졸년1594(선조 27)
시대조선전기
본관창녕(昌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한량(漢良)
출신지안음(安陰)
저서『석곡집』

[상세내용]

성팽년(成彭年)
1540년(중종 35)∼1594년(선조 27).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이옹(頤翁), 호는 석곡(石谷). 안음(安陰) 출신. 교위 한량(漢良)의 아들이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유생으로 있다가 1569년(선조 2) 아버지가 죽자 학업을 그만두고 오직 어머니에게 효성을 다하였다. 효행으로 천거받아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면(金沔)고령거창현풍경상도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킬 때 정유명(鄭惟明) 등과 함께 안음에서 기병유사(起兵有司)로 창의문(倡義文)을 발통하는 등 김면의 참모가 되어 의병활동을 하였다.

시문과 글씨에 뛰어났고, 의약(醫藥)‧복서(卜筮)‧산경(山經)‧지지(地誌) 등 유학 이외의 분야도 두루 섭렵하였다. 지평에 추증되고, 안의(安義)구연사(龜淵祠)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문집인 『석곡집』이 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燃藜室記述
石谷集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