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우(李從愚)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885C6B0U9999X0 |
자(字) | 예수(睿叟) |
생년 | 1485(성종 16) |
졸년 | 1533(중종 28)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함평(咸平)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이근종(李根宗) |

[상세내용]
이종우(李從愚)
1485년(성종 16)∼1533년(중종 28). 조선 전기 문신. 자는 예수(睿叟)이다. 본관은 함평(咸平)이고, 출신지는 전라남도 나주(羅州)이다.
부친은 현감을 지낸 이근종(李根宗)이다.
모재(慕齋) 김정국(金正國)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당시 우리나라에서 소학(小學)을 새로 간행을 하게 되자 스승인 모재(慕齋)의 명으로 교정(校訂)에 참여하였다.
1513년(중종 8) 식년시 생원 2등 11위에 합격하였고, 호학교수(湖學敎授)로 관직에 나아갔다.
안당(安塘)의 추천으로 영좌절도사(嶺左節度使, 경상좌도 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낙향하여 광주(光州) 어등산(魚等山) 아래에 있는 방혜별장(芳蕙別莊)에서 소요(逍遙)하며 지냈다.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복재(服齋) 기준(奇遵)‧면앙(면仰) 송순(宋純)과 도의(道義)로써 교유하며, 동년금방계(同年金榜契)를 설립(設立)하였다.
향년 49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묘는 도산면(島山面)에 있다.
부친은 현감을 지낸 이근종(李根宗)이다.
모재(慕齋) 김정국(金正國)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당시 우리나라에서 소학(小學)을 새로 간행을 하게 되자 스승인 모재(慕齋)의 명으로 교정(校訂)에 참여하였다.
1513년(중종 8) 식년시 생원 2등 11위에 합격하였고, 호학교수(湖學敎授)로 관직에 나아갔다.
안당(安塘)의 추천으로 영좌절도사(嶺左節度使, 경상좌도 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낙향하여 광주(光州) 어등산(魚等山) 아래에 있는 방혜별장(芳蕙別莊)에서 소요(逍遙)하며 지냈다.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복재(服齋) 기준(奇遵)‧면앙(면仰) 송순(宋純)과 도의(道義)로써 교유하며, 동년금방계(同年金榜契)를 설립(設立)하였다.
향년 49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묘는 도산면(島山面)에 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
湖南人物誌
湖南人物誌
[집필자]
김경희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