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용(李子庸)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790C6A9B1330X0 |
생년 | 1330(충숙왕 17) |
졸년 | 1385(우왕 11) |
시대 | 고려후기 |
본관 | 영천(永川)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이자용(李子庸)
1330년(충숙왕 17)∼1385년(우왕 11). 고려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1378년(우왕 4) 판도판서(判圖判書)로서 전 사재령(司宰令) 한국주(韓國柱)와 함께 일본에 건너가 구주절도사(九州節度使: 九州探題) 미나모토(源了浚: 令川了浚)에게 금‧은‧인삼 등 후한 선물을 주고 왜구의 침입을 금하도록 요청하였으며, 그 이듬해 피로인(被虜人) 230여명을 쇄환(刷還)하여 돌아왔다.
뒤에 밀직부사에 올랐으며, 1383년 성절사(聖節使) 김유(金庾)와 함께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갔으나 기일을 지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그곳에 억류되었다가 1385년 풀려나 돌아오는 도중에 죽었다.
1378년(우왕 4) 판도판서(判圖判書)로서 전 사재령(司宰令) 한국주(韓國柱)와 함께 일본에 건너가 구주절도사(九州節度使: 九州探題) 미나모토(源了浚: 令川了浚)에게 금‧은‧인삼 등 후한 선물을 주고 왜구의 침입을 금하도록 요청하였으며, 그 이듬해 피로인(被虜人) 230여명을 쇄환(刷還)하여 돌아왔다.
뒤에 밀직부사에 올랐으며, 1383년 성절사(聖節使) 김유(金庾)와 함께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갔으나 기일을 지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그곳에 억류되었다가 1385년 풀려나 돌아오는 도중에 죽었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高麗史節要
[집필자]
손홍렬(孫弘烈)
명 : "자용(子庸)"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1-04-11 | 석탄집(石灘集)을 참고하여 본관을 미상에서 영천(永川)으로 추가함. 생년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