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종구품(從九品)

[요약정보]

시대조선(朝鮮)
대분류관직
중분류품계
소분류품계

[품계]

종9품(從九品)

[상세내용]

조선시대 제18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은 장사랑(將仕郞), 잡직(雜職)은 전근랑(展勤郞), 토관(土官)은 시사랑(試仕郞), 서반(西班) 무관은 전력부위(展力副尉), 잡직은 근력부위(勤力副尉), 토관은 탄력도위(殫力徒尉)가 있었다. 내명부(內命婦)에 주변치(奏變徵)‧주치(奏徵)‧주우(奏羽)‧주변궁(奏變宮), 세자궁(世子宮)에 장장(掌藏)‧장식(掌食)‧장의(掌醫)가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문무관 처는 유인(孺人)이 있었다.

종구품(從九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참봉(參奉), 돈녕부(敦寧府)의 참봉, 호조(戶曹)의 회사(會士), 형조(刑曹)‧수원부(水原府)‧광주부(廣州府)의 검률(檢律), 교서관(校書館)의 부정자(副正字), 개성부(開城府)‧강화부(江華府)의 분교관(分敎官)‧검률, 성균관(成均館)의 학유(學諭), 승문원(承文院)의 부정자, 통례원(通禮院)의 겸인의(兼引儀)‧가인의(假引儀), 봉상시(奉常寺)의 참봉, 사옹원(司饔院)의 참봉, 내의원(內醫院)의 참봉, 군기시(軍器寺)의 참봉, 군자감(軍資監)의 참봉, 관상감(觀象監)의 참봉, 전의감(典醫監)의 참봉, 사역원(司譯院)의 참봉, 오위(五衛)의 부사용(副司勇),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참봉‧감역관(監役官)‧가감역관(假監役官), 사재감(司宰監)의 참봉, 전연사(典涓司)의 참봉, 내수사(內需司)의 전화(典貨), 소격서(昭格署)의 참봉, 사직서(社稷署)의 참봉, 제용감(濟用監)의 참봉, 전생서(典牲署)의 참봉, 오부(五部)의 도사(都事)‧참봉, 예빈시(禮貧寺)의 참봉, 혜민서(惠民署)의 참봉, 전옥서(典獄署)의 참봉, 활인서(活人署)의 참봉, 수문장청(守門將廳)‧조경묘(肇慶廟)‧경기전(慶基殿)‧준원전(濬源殿)‧화령전(華寧殿)의 수문장(守門將), 문소전(文昭殿)‧연은전(延恩殿)‧경기전‧영희전(永禧殿)‧만녕전(萬寧殿)‧안릉(安陵)‧지릉(智陵)‧숙릉(淑陵)‧의릉(義陵)‧순릉(純陵)‧정릉(定陵)‧화릉(和陵)‧건원릉(健元陵)‧제릉(齊陵)‧정릉(貞陵)‧후릉(厚陵)‧헌릉(獻陵)‧영릉(英陵)‧현릉(顯陵)‧장릉(莊陵)‧사릉(思陵)‧광릉(光陵)‧경릉(敬陵)‧창릉(昌陵)‧공릉(恭陵)‧선릉(宣陵)‧순릉(順陵)‧정릉(靖陵)‧온릉(溫陵)‧희릉(禧陵)‧태릉(泰陵)‧효릉(孝陵)‧강릉(康陵)‧목릉(穆陵)‧장릉(章陵)‧장릉(長陵)‧휘릉(徽陵)‧영릉(寧陵)‧숭릉(崇陵)‧명릉(明陵)‧익릉(翼陵)‧의릉(懿陵)‧혜릉(惠陵)‧원릉(元陵)‧홍릉(弘陵)‧영릉(永陵)‧건릉(健陵)‧인릉(仁陵)‧수릉(綏陵)‧경릉(景陵)‧예릉(睿陵)‧현륭원(顯隆園)‧휘경원(徽慶園)의 참봉, 순강원(順康園)‧소령원(昭寧園)‧수길원(綏吉園)의 수봉관(守奉官), 순회묘(順懷墓)‧소현묘(昭顯墓)‧민회묘(愍懷墓)‧의소묘(懿昭墓)‧효창묘(孝昌墓)의 수위관(守衛官), 훈련도감(訓鍊都監)‧금위영(禁衛營)‧어영청(御營廳)‧총융청(摠戎廳)‧북한산성(北漢山城)‧경리청(經理廳)‧총리영(摠理營)‧수어청(守禦廳)‧관리영(管理營)‧진무영(鎭撫營)의 초관(哨官), 내시부(內侍府)의 상원(尙苑)이 있었다.

외직 문관으로 8도(八道)의 훈도(訓導)‧심약(審藥)‧검률(檢律), 경기‧경상‧전라‧황해‧강원도의 역승(驛丞), 경기도의 도승(渡丞), 숭의전(崇義殿)‧태일전(太一殿)‧숭덕전(崇德殿)‧숭인전(崇仁殿)‧숭령전(崇靈殿)의 참봉, 외직 무관으로 8도의 수군별장(水軍別將), 경상‧함경‧평안도의 수군권관(水軍權管)이 있었다.

동반 잡직으로 액정서(掖庭署)의 부사소(副司掃), 장악원(掌樂院)의 부전성(副典聲), 사복시(司僕寺)의 보기(保驥), 장원서(掌苑署)의 부신수(副愼獸), 도화서(圖畵署)의 회사(繪史), 사옹원(司饔院)의 팽부(烹夫), 군기시(軍器寺)의 공작(工作), 상의원(尙衣院)의 공작, 교서관(校書館)의 사감(司勘)‧공작‧창준(唱準), 공조(工曹)의 공작, 선공감(繕工監)의 공작, 소격서(昭格署)의 지도(志道), 서반 잡직으로 파진군(破陳軍)의 추사(趨事), 각영 군사(各營軍士)의 대부(隊副), 기보병(騎步兵)의 대정(隊正)이 있었다.

동반 토관직으로 함흥부(咸興府)‧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경성(鏡城)‧회령(會寧)‧경원(慶源)‧종성(鍾城)‧온성(穏城)‧부령(富寧)‧경흥(慶興)‧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의 섭사(攝事),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진강위(鎭江衛)‧회원위(懷遠衛)‧유원위(柔遠衛)‧진포위(鎭浦衛)의 부여용(副勵勇)이 있었다.

[별칭]

-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집필자]

이재옥(李載玉)
수정일 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최초 등록하였습니다.